중국 기술혁신관리(TIM) 분야의 학술지 속성 결정요인 - 기술경제(技術經濟)지 분석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Journals on the Fields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Management (TIM) in China - An Analysis of Jishu Jingji

  • 투고 : 2011.05.19
  • 심사 : 2011.12.21
  • 발행 : 2011.12.30

초록

이 연구는 중국 기술경제학회가 발행하는 '기술경제'지의 분석을 통해 중국의 기술혁신관리 분야 학술지에 관한 세 가설을 검증한 것이다. 첫 가설은 중국의 기술혁신관리 분야 학술지는 이 분야의 속성보다 국가속성이 더 크다는 것인데,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은 편집진은 학술지를 대표한다는 것이었으나,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편집진 분포는 학술지가 다루는 주제범주를 나타낸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중국의 이 분야 학술지는 모두 논문길이가 짧고 참고문헌의 갯수가 다른 나라에 비해 작으며 해외 참고문헌을 거의 인용하지 않는 특정이 있다. 또한 거의가 기술-기업-산업을 다룬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분석대상 '기술경제'지는 다른 중국 학술지와 같은 범주이지만 다루는 기업과 산업의 내용범주가 더 넓고, 편집진은 저자대표라기 보다 상징적인 의미가 더 컸다.

This is an analysis of three hypotheses in the fields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Management (TIM) analyzing the journal of Jishu Jingji (Technology Economics) which is published by the Chinese Society of Techno-economics. The Jishu Jingji journal is similar to other Chinese journals in TIM as follows: First, it's short in length. Second, there are a few references and foreign references can be counted with fingers of one hand. Third, the journal's scope is similar to others in TIM such as technolog-firm-industry.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more general topics on the firm and the economy than other journals in TIM. Second, technologies covered are those of existing industries and infrastructure rather than emerging technologies and industries. Third, editors rarely submit papers to the journal. Finally, the expertise of the editors is diverse which is similar to the scope of the journal. First proposed hypothesis on journals in TIM is that journals represent country specific characteristics over field specificities, and this view is widely accepted in China. Second hypothesis is that editors are representatives of authors, but this hypothesis is rejected, at least in this journal. Third hypothesis is that the composition of editors reflects the scope of journals, and this hypothesis is generally accep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