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통상환경의 변화와 한국기업의 투자 및 진출에 관한 시사점

Myanmar's Macroeconomic chang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Invest of Korean Enterprises

  • 정성훈 (동국대학교 경영관광대학 국제통상학전공) ;
  • 권오윤 (동국대학교 정치행정학부)
  • 투고 : 2011.11.21
  • 심사 : 2011.12.10
  • 발행 : 2011.12.27

초록

미얀마는 2011년에 들어 역사상 두 번째 총선거로 신정부가 출범하게 되었으며 경제 특구법 발표, 2009년 한 해에만 190억 달러에 달한 외국인 투자 유입, 사회기반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50년 만에 노동조합과 노동자들의 파업권 허용 등 미얀마 정치경제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국의 대 미얀마의 투자 및 교역도 과거와 달리 최근 들어 많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아직은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신 미얀마 통계자료 및 국내외 연구 중심의 조사 방법을 통하여 미얀마의 경제 거시적 변화에 따른 한국의 투자 및 진출에 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한 결과는 최근 미얀마는 초기 발전 단계에 있으며 많은 사회 기반 시설에 관련 프로젝트로 철도, 도로, 통신, 건설업 등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지만 비교적 투자 규모가 크다. 한편으로 섬유, 봉제 분야는 비교적 투자 규모도 적고 수출촉진, 제3국 수출 확대, 저 임금 노동력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수출촉진이나 저임금 노동력 활용을 위해서 미얀마 시장 진출한 기업은 향후 미얀마 내수시장 확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 경기 성장 초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요로 교역이 많아짐으로 무역 분야에 대한 진출도 가능하지만 미얀마는 아직 교통 및 유통 시장에 관한 인프라 부족으로 선정된 품목이나 상품에 대한 유통 비용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진출 전략에 대해서 미얀마 수출 지향적 산업, 수입대체산업, 노동집약산업 등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의미는 단순 노동을 가공하여 대량 생산과 수출이 가능한 품목이나 제품에 대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진출 기업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는데 단순한 노동집약적 산업 투자할 경우 합작 투자가 유리한 반면에 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진출 할 경우 단독 투자가 적당하다고 본다.

Myanmar had fallen behind other southeast asian nations since Burmese way to Socialism settled down. However, historically second election in Myanmar hold in 2011 and dramatic changes in areas such as Special Economic Zone announcement, the very huge inflow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a year of 2009, the infrastructure building projects, a permit of the right to strike for Labour Organization in Myanmar etc. Particularly, Foreign investments and trade with neighbouring countries are actively growing and also with Korea. But investments of Korea in Myanmar relatively are not diversity, with limited sectors such as mining and sewing manufacturing.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s trying to mak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of entry and investments of Korea in Myanmar by using previous papers related to Myanmar economies, trade and foreign investments with updated statistical data. The implications for Korea is that recently Myanmar economy is in its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lthough it can occur huge demand of railway, road, communications and constructions related to social infrastructures essentially needed for development of a country, these sectors relatively need huge investments. On the other hands, textile and sewing industry relatively need smaller investments in which investors can utilize low labour cost and a position for export to third countries. But those firms which set up for those purpose in Myanmar might have trouble creating domestic markets in future. Moreover, due to demand which occur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in Myanmar, trade volume tend to increase and trading is also possible to invest but Myanmar still have lots of problems with infrastructure such as road and logistics and we need to make pre-survey for the costs and benefits of our products Finally, Myanmar government is trying to promote and encourage some of industries such as export-oriented industry, import substitution industry and labour-intensive industry. It can also means they will accumulate capital which can be sources for Myanmar economic grow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