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between Congestion Levels and Amount of $CO_2$ Emissions on Arterials

단속류 간선도로에서 지정체와 $CO_2$ 배출량 비교

  • 강진구 (경기대학교 도시 및 교통공학과) ;
  • 오흥운 (경기대학교 도시 및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1.03.28
  • Accepted : 2011.10.0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amount of vehicle's $CO_2$ emission would highly related to vehicle's cruising speeds on highways. In this study, it was tested if vehicle's $CO_2$ emissions would relate to the types of highways and the level of conges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CO_2$ emission changes depending on (1) the vehicles' cruising speeds (b) congestion levels, and (c) the types of intersections. It was found that the vehicl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methods increases the amount of $CO_2$ emission up to 12%. It was also found that it changed up to 30% and 40%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gestion and the types of intersections, respectively. The findings imply that the amount of $CO_2$ emission from vehicles should be improved when vehicles' cruising speeds are well managed through congestion management.

$CO_2$ 배출량은 차량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속도는 도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단속류 간선 도로의 차량 당 $CO_2$ 배출량은 교차로 특성과 지정체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교차로의 존재, 지정체의 영향과 차량 당 $CO_2$ 배출량의 분석이 필요하다. 연구 방법은 첫째, 국도를 대상으로 차량의 교차로 통과방법에 따른 차량 당 $CO_2$ 배출량차이를 비교하였다. 둘째, 전체 대상구간에서 자유속도와 지정체 속도에 따른 차량 당 $CO_2$ 배출량차이를 비교하였다. 셋째, 구간별 차량당 $CO_2$ 배출량차이를 비교하였다. 차량 당 $CO_2$ 배출의 정량화를 위하여 속도에 따른 배출량 곡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차로에서 감가속 방법에 따라 최대 12%까지 차량 당 $CO_2$ 배출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 구간 전체에서 지정체로 인해 30%이상 차량 당 $CO_2$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간별 비교 결과 교차로 특성 등에 따라 최대 차량 당 40%까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차로 통과방법, 통행속도, 교차로 특성을 개선하면 차량 당 $CO_2$ 배출량을 감소할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영(2008),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개발", 경기개발연구원, pp.25-26.
  2. 유동현(2010), "도로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에너지경제연구원, pp.5-6.
  3. Bennett, C. R.(1994), "Modeling Drive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Behaviour in New Zealand", N.D. Lea International, p.4.
  4. El-Shawarbya, I.(2005), "Comparative field evaluation of vehicle cruise speed and acceleration level impacts on hot stabilized emiss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Volume 10, Issue 1, pp.13-30. https://doi.org/10.1016/j.trd.2004.09.002
  5. Barth, M. and Boriboonsomsin, K.(2009), "Traffic Congestion and Greenhouse Gases", Transportation Research at the University California, p.5.
  6. Parikh, R. I.(2006), "Effectiveness of Signal Coordination as an Emission Reduction Measure for Vehicl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ion, pp.68-72.
  7. Sucharov, L. J.(2002), "Emissions at Different Conditions of Traffic Flow", Urban Transport VIII - Urban Transport and The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pp.571-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