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for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for Local Government`s Sustainable Transport

지속가능교통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지자체 적용 및 비교 연구

  • 유병용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배상훈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한상용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
  • 김건영 (한국교통연구원 교통경제연구센터)
  • Received : 2011.04.27
  • Accepted : 2011.07.1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In effort to estimate sustain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sector,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ology suggested for measuring greenhouse gas emission. There are two approaches proposed by the UN IPCC: 1) top-down approach (TDA) based on the amount oil sales, and 2) bottom-up approach (BUA) utilizing the velocity of moving source and traffic volume data. The subject areas for analysis were selected based on research results by the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that evaluate traffic sustainability of each local government. Gwacheon-si being one of the top ranked areas in sustainability, and Anseong-si being ranked at the 7th level were analyzed. By the tier 1 methodology, Gwacheon-si and Anseong-si are estimated to create 74,813ton/yr, and 584,125ton/yr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espectively. The tier 3 methodology, however, estimates Gwacheon-si and Anseong-si to create 91,462ton/yr, and 163,801ton/yr of the emission, respectively. Comparison of the two estimated emissions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i.e., the tier 3 method over estimates Gwacheon-si's emission by 22.3% whereas it underestimates Anseong-si's greenhouse gas emission by the factor of about 3.5 compared to the emissions obtained from the tier 1 method. The result from this study implies that the traffic-sustainability-index based grade of each local government can be evaluated differently by the method adopted for measuring greenhouse gas emission.

본 연구는 교통부문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별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은 UN IPCC에서 제시하였으며 유류판매량을 기본으로 한 하향식 방식(Tier1,2)과 이동원의 속도 및 교통량 자료를 활용한 상향식 방식(Tier 3)이 있다. 방법론에 따른 결과 분석을 위하여 분석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지자체별 지속가능교통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1등급 지역 중 하나인 과천시와 7등급 지역인 안성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Tier 1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온실가스 배출량($CO_2$ 기준)은과천시의 경우 74,813ton/yr, 안성시는 584,125ton/yr로 나타났다. Tier 3 방법론 적용 결과 과천시 91,462ton/yr, 안성시 163,801ton/yr로 나타나 과천시의 경우 Tier 1 방법론보다 22.3% 과대추정 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안성시의 경우 Tier 3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 온실가스 배출량이 3.5배가량 줄어드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따라 지속가능교통 지수에 의한 지자체별 등급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통연구원(2011), "교통물류체계의 지속가능성 조사 및 특별대책지역 지정방안 연구".
  2. 최상진.박성규.장영기.이희관.황의현.봉춘근(2011), "선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33-42.
  3. 김태호, 이수일, 김영일, 노정현(2010),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지, Vol.58 No.9, 대한토목학회, pp.67-73.
  4. 한국교통연구원(2008), "2008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5. 김민정, 안미진(2008), "항공교통 부문 온실가스배출규모 추정 및 관리방안", 한국교통연구원.
  6. 국립환경과학원(2009), "수송부문 온실가스 기후변화대응 시스템 구축(II) : 자동차 온실가스 Bottomup 배출계수 개발".
  7. 환경부.환경관리공단(2008),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8. IPCC(2008),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Inven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