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Disaster Preven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수치영상 기반의 방재지도를 활용한 방재정보시스템 개발

  • Received : 2011.09.26
  • Accepted : 2011.10.2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s global warming and has caused the number of abnormal changes, much damage has occurred recently in Korean Peninsula from natural disaster. To prevent and cope with these annually repeated natural hazards, scientific analysis are needed in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systematic management. In this study, As part of scientific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digital image based hazard map for solution to overcome the existing hazard map with schematic representation was constructed. which was combined digital image, digital map and hazard information, and than hazard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the hazard map. The hazard information map and hazard information system are able to provide great service to the public and to support quick decision making for hazard management and analysis of natural hazard damage.

최근 들어 범세계적으로 기상이변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로 자연적, 인위적 재난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 주변 또한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복적인 재난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인 분석과 체계적인 재해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방재 대책의 일환으로 수치영상, 수치지형도 및 재해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해하기 어려운 기존 방재지도의 도식적 표현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여 누구나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수치영상기반의 방재지도를 제작하고, 제작된 방재지도를 통해 방재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재지도와 방재정보시스템은 재해 피해현황 및 상황의 가독성을 높여 효과적인 대민서비스가 가능하며,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자연재해 상황분석 및 대응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곽재하, 정재형, 1992, "항공사진판독에 의한 자연재해예측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10권 제2호, pp.57-62.
  2.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이성문, 2009,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한 방재지도 구축 및 활용",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1707-1710.
  3. 한국수자원공사, 2002, 홍수지도제작 보고서(한강 유역권 시범제작)
  4. 김감래, 라용화, 안병구, 박세진, 2004, "정사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편집의 신뢰성 향상 방안",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2권 제3호, pp.253-259.
  5. 백동승, 2004,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 권 제4호, pp.109-118.
  6.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0, 홍수재해지도 작성 제도화 및 침수예상지역 추정방법 개발(I), pp.1-35.
  7.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9, 피해조사 시스템 시범 적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pp.199-210.
  8. 이재원, 2007,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안 매립지 역 침수예상도 제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5권, 제4호, pp.97-102.
  9. 장세현, 이진욱, 김창수, 2006, "방재 시스템을 위한 GIS와 URL 정보 연동 모듈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멀티미디어학회, pp.332-335.
  10. Geoffrey C. P., Jack A. S., Christopher A. F., and Steven W. R., 2002, "Three-dimensional mapping of geomorphic controls on flood-plain hydrology and connectivity from aerial photos", Geomorphology, Vol. 48, Issue 4, pp.329-347. https://doi.org/10.1016/S0169-555X(02)00078-8
  11. Kaab A., 2000, "Photogrammetry for early recognition of high mountain hazards: New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 B: Hydrology, Oceans and Atmosphere, Vol. 25, Issue9, pp.765-770. https://doi.org/10.1016/S1464-1909(00)00099-X
  12. Shidawara M., 1999, "Flood hazard map distribution", Urban Water, Vol. 1, Issue 2, pp.125-129. https://doi.org/10.1016/S1462-0758(00)000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