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ificance of Hyperechoic Cluster Formation of Medial Meniscus

내측 반월상 연골 초음파 상 고에코성 '무리'의 임상적 의의

  • Kim, Jung-M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 Oh, Se-K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 Yu, Jong-M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 Kim, Pil-S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 Kim, In-B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Purpose: To verify the sinificance of the hyperechoic cluster formation in medial meniscal tear on the son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e formation of hyperechoic cluster of the medial meniscus on the 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in 28 knees. Results: The cluster formation area coincided with the overlapped torn fragment of the meniscus in all cases. Conclusion: The hyperechoic cluster on the sonography reveals the position of the overlapped torn fragment.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초음파적 진단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고에코성 '무리'가 보일 때 어떤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의 초음파 상 고에코성 '무리'가 보이는 28예에서 자기 공명 영상과 수술 소견을 비교하여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전례 여성이었으며 년령은 55~75세 사이였다. 결과: 고에코성 '무리'의 생성 부위는 수술 소견상 정확히 반월상 연골의 파열된 조각이 모조직과 중첩되는 부위와 일치 하였다. 결론: 고에코성 '무리'가 내측 반월상 연골에 보일 때 이는 연골 파열 파편이 모조직과 중첩된 것을 나타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