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III-표현생활.언어생활.탐구생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1 총론. 서울: (주)두산.
- 김기연(2000) 수학 학습지도 및 평가에서의 개념도활용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자영.김정효(2003)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연구 20(2), 77-96.
- 김향자.이현옥.허선자(2004). 유치원 교사들의 수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4), 199-216.
- 김혜진(2003)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혜 외(2002) 유아 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서동미.이영미 (2006)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 수학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0(3), 231-250.
- 손원경.조혜진.김옥주.이현숙(2010)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39(4), 319-339.
- 심성경.이효숙.임선옥.박순이.허은주.박지애 (2003) 유아음악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분석, 한국 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4(4), 71-88.
- 오지영(2001)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물리영역의 이해 및 내용 분석을 위한 개념도 작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영옥 (2008) 유아교사의 미술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윤정아(1998)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숙(2001) 실행연구를 통한 교육실제의 개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 연구논총 17(2), 381-408.
- 이순형(2007) 영유아 교수방법. 서울: 학지사.
- 이용숙.김영천(1998) 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자료의 분석.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서울과학사.
- 이정욱(1998) 유아교사교육과 개념도의 활용.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교육연구 6, 155-173.
- 이정희(2003) NCTM의 수학교육내용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내용의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지현(2003) 유아 수 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 정정희(2001)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수준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 능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학회지 6(3), 97-116.
- 조부경.박은혜.임승렬(1998) 유아교사 양성 대학교육과정에 반영된 '지식의 기초'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교육학 연구 36(3), 225-254.
- 주호수(2000) 구성주의 관점에서 개념도 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초등교육연구 13(2), 221-237.
- 한종화(200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학교육 수업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4), 117-134.
- 한종화.박찬옥(2004)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유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탐색. 유아교육연구 24(3), 225-242.
- 홍혜경(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 황해수(2010) 유아 수학능력 수행평가 체제 개발 및 적용.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Aubrey C(1997) Children's early learning of number in school and out. In I. Thomason(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pp. 20-29). Buckingham: Open University.
- Berliner DC(1987) Ways of thinking about students and classrooms by more and less experiences teachers. In J. Calderhead(Ed.). Exploring teachers' thinking 60-83.
- Bogdan C, Biklen S K(198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 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 질적 연구. 신순옥옮김(1991) 서울: 교육과학사.
- Bredekamp S(1995)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J. Sikula, T. J. Buttery, & E. Guyto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323-347.
- Carpenter TP, Fennema E, Peterson PO, Carey DA (1998)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tudents' problem sloving in elementary arithemetic. Journal of Research in Matermatics Education 19(5), 385-401.
- Clandinin DJ(1996) Teacher's personal knowledge landscape; Teacher stories-stories of teacher-school stories-stories of school. Educational Researcher 25(3), 24-30.
- Clark CM, Peterson PL(1986) Teachers thought process. In M.C., Wittrock,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3rd ed).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 Clark CM, Elmore JL(1981) transforming curriculum in mathematics, sicence and writing; A case study of teacher yearly planning. Research Series NO. 99. East Lansing, MI.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 Clements DH(2001) Mathematics in preschool.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5(5), 270-275.
- Creswell JW(1994) Research design-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 Ginsburg HP, Inoue N, Seo KH(1999) Young children doing mathematics: Observation of every activities. In J. Copley(Ed).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NAEYC.
- Lee J(1995)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instructional cont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Leinhardt G, Greeno J G(1986) The cognitive skill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75-95. https://doi.org/10.1037/0022-0663.78.2.75
- Manson CL(1992) Concept mapping : A tool to develop reflective Scienc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76(1), 51-63. https://doi.org/10.1002/sce.3730760105
- Merriam BS(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옮김(1994). 서울: 양서원.
- Menmuuir J, Adams K(1997) Young children's inquiry learning in mathematics. Early Years 17(2), 34-39. https://doi.org/10.1080/0957514970170207
- Novak JD, Gowin DB(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ynolds A(192). What is competent beginning teachig?: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1), 1-35.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1001
- Shulman L 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 1-22.
- Spodeck B, Saracho ON, Peters DL(1998)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mbia University.
Cited by
- Food Allergy Perception Providing Safe Meals : Food and Nutrition and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vol.26, pp.1,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1.63
- Search of Improvement Plan on the National Evaluation for Teacher Education Course in College: Focus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vol.32, pp.1, 2015, https://doi.org/10.24211/tjkte.2015.3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