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Retail Manager's Personal Traits and Emotional Variables on Multi-faceted Job Satisfaction

유통 관리자의 개인적 특성(Personal Traits)과 감정 관련 변수가 다중직업만족도메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Jung-Kun (College of Technology, University of Houston) ;
  • Rutherford, Brian N. (Marketing and Professional Sales, Kennesaw State University) ;
  • Yoo, Weon-Sang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 Lee, Young-Hee (College of Technology, University of Houston)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1.10.19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Developing our understanding of retail employee job satisfaction is important, especially given its impact in reducing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and increasing employee job performance. While developing our understanding of job satisfaction is important,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examine job satisfaction as a global or single-faceted construct. However, extant research provides evidence that to properly measure job satisfaction, multi-faceted scales are required (e.g. Churchill et al., 1974; Boles et al., 2007; Rutherford et al., 2009). Using the literature on multi-facete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s retail employees'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job, company policy, promotion, pay, fellow workers, and customers. Specifically, emotional exhaustion, need for emotion, and personal traits (strong, independent, and warm) are examined as antecedents. This study finds that emotional exhaus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all seven facets of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미국의 유통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인 특성 요인과 감정 관련 변수들이 일곱 가지 영역으로 분류된 직업 만족도 (관리, 직무, 회사 정책, 승진, 급여, 동료, 고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과의 직접 대면이 많은 업무의 특성을 지닌 유통산업에서는 고객 접점에 있는 직원 뿐 아니라 관리자들에게도 감정 소진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감정의 소진은 직업 만족도의 7 가지 영역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이 감정 필요에, 감정 소진이나 감정 필요가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접점 위치에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유통 서비스 산업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고 개인적인 특성을 세 종류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직업 만족도 역시 7 가지 구성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날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져 가고 있는 유통 기업들이 서비스 경영의 핵심 요소인 내부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내부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통 업체들은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관리를 통하여 관리자들의 감정 필요나 소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도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