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erspective and their instructional culture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문화

  • Kwon, Ki-Young (Seoul National University Girls' Middle School) ;
  • Lee, Ki-Young (Dept. of Consumer & Child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1.23
  • Accepted : 2011.12.1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erspective and their instructional culture, and to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m.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research showed that the preferences of HE teachers with respect to curriculum perspectives were in the order of the interpretive, emancipatory, and technical perspectives. However, there was no consistency among findings in the preferences for the sub-elements of a curriculum. Second, our results indicated that HE teachers performed their role affirmatively in terms of instructional culture such as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the 'class focused on student', and the 'learning materials prepar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ive elements such as the 'cooperation among teachers' between the HE teachers' curriculum perspectives and their instructional culture.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4 factors of 'instructional culture' between the teacher group whose curriculum preference was clear and those group whose curriculum preferences was vague.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가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수업문화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이 수업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편의 표집한 설문지 21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win(v. 12.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정과 교사가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을 조사한 결과, 해석적 관점,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이었다. 또한 각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 요소에 대한 경향을 알아본 결과는 학습자, 사회에 대한 선호 경향은 전체 관점 경향과 일치하나, 교과지식에 대한 선호 경향은 해방적 관점, 해석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전체 경향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문화 실태는 '교사 간 협력', '학생 중심 수업', '수업자료 준비', '평가 활용 수업' 등의 요인에서는 긍정적인 수업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소극적 수업방식', '수업 중 학생행동' 등의 요인에서는 부정적인 수업 문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이 수업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 간 협력요인, 수업자료 준비 요인, 수업 중 학생행동 요인, 학생 중심 수업 요인, 소극적 수업방식 요인 등 5개의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관점을 토대로 나눈 '교육과정 관점이 불분명한 집단'과 '교육과정 관점이 분명한 집단'의 수업문화는 4 가지 수업 문화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