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Experiences Related to Sense of Place in Cities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정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 허윤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권윤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
  • 변재상 (신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최형석 (수원대학교 도시부동산개발학과)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Yoon-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ue, Youn-Su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on-Koo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yeon, Jea-Sang (Dept.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Singu University) ;
  • Choi, Hyung-Suk (Dep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University of Suwon)
  • 투고 : 2011.05.04
  • 심사 : 2011.12.20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경주시, 춘천시, 안성시, 과천시의 장소성이 높은 장소의 경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도시의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의미있게 기억하는 장소와 그곳에서의 경험을 측정하고, 그 장소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장소성의 경험유형을 분류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소성이 높은 장소는 대체로 공원과 문화재 등의 자연적 역사적 도시자원과 관련이 있다. (2) 휴식 및 산책, 조망 및 감상의 경험이 장소성 형성의 주요 경험이며, 이들은 다시 공간경험 중심형과 교류경험 중심형으로 구분된다. (3) 서울시, 안성시, 과천시 등 일반적인 도시의 경우, 각각의 장소성이 높은 장소에서 다양한 경험이 분화되어 나타난다. (4) 경주시, 춘천시 등 자연경관, 역사, 문화 등이 특화된 관광도시의 경우, 장소성 높은 장소가 공간적으로 도시의 중심에 집중되며, 그 장소에서 다양한 행태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장소에 대한 도시민의 경험과 각 장소의 특성, 도시의 성격 등을 바탕으로 한 이러한 분석 결과는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도시마케팅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도시에서 장소성 높은 곳을 찾아내고, 각 공간에서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성이 없는 도시에는 활력을 줄 수 있는 특화 요소를 조성 발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 내에서 장소성 높은 공간의 분포는 도시 관리 및 정비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 alyzes the spatial experience of a notable sense of place in five cities-Seoul, Gyeongju, Chuncheon, Anseong and Gwacheon. A survey targeting 300 citizens was carried out to survey meaningful, memorable places and measured spatial experiences in those places. The types of spatial experiences were divided among place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thereof. To do this, first, those places that have a notable sense of place have relevance in na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parks, cultural assets, etc. Second, the main experiences in making sense of place included 'relaxation and walking' and 'a view and appreciation'. These were divided into two types, Spatial Contact and Human Contact. Third, cities such as Seoul, Anseong, Gwacheon offer a variety of experience in places having a notable sense of place. Fourth, in cities noted for natural landscape, history and culture, those spaces with a notable sense of place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They exhibit a variety of behaviors, complexly and simultaneously. These results-based spatial experiences of citizens and spatial character have important meaning for city identity and city marketing. Through defining those places that have a notable sense of place and understanding the spatial features in these places, this study can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forming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c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