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Social Scenario Generation using SNS

SNS를 이용한 소셜 시나리오 생성에 관한 연구

  • Kim, Eun-Young (Department of Digital Contents, Sejong University) ;
  • Kim, Won-Il (Department of Digital Contents, Sejong University)
  • 김은영 (세종대학교 디지털콘 텐츠학과) ;
  • 김원일 (세종대학교 디지털콘 텐츠학과)
  • Received : 2011.04.20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method of the social scenario generation that maximize public`s participation taking advantag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technology to overcome limit of scenario generation formed in existent analog space. The method is novel because digital technology was used only in storytelling, and never us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troducing in scenario generation. Existent scenario generation was apt to lean in subjective thinking of individual and when handle story of professional field, there was difficulty because it was writer individual`s generation. Entrance on the stage of digital scenario generation programs was standardized form of scenario, but This limitation did not still solve. Therefore, whatever make scenario in digital space, scenario generation is still depending on only writer individual`s ideas. By method that overcome this limit, we propose social scenario generation that use SNS that writer can accommodate opinions of many people and relevant informations up to date.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시나리오 생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Social Network Service 기술을 이용하여 대중의 참여를 극대화시킨 소셜 시나리오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소셜 시나리오 생성 방법은 시나리오의 표현 기술에만 쓰이던 디지털 기술을 시나리오 생성에 도입하여 정보의 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기존의 시나리오 생성은 작가 개인의 창작이었기 때문에 전문분야의 이야기를 다룰 때 어려움이 있었고,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에 치우치기 쉬웠다. 디지털 시나리오 작성 프로그램들의 등장은 시나리오의 형식을 정형화시켰으나 여전히 이 한계점은 해결하지 못했다. 때문에 디지털 공간에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시나리오 생성은 작가 개인의 생각에만 의지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작가가 많은 사람들의 의견과 관련 정보 중에서 가장 최신의 정보들을 수용할 수 있는 SNS를 이용한 소셜 시나리오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발터 벤야민(W.Benjamin), 반성완 옮김,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년.
  2.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창작론", 디지털 스토리 텔링, 황금가지, 2003년.
  3. 박현길, "스마트폰의 동반자-소셜네트웍서비스", 한국 마케팅 연구원, 제 44권 제 9호, 57-65쪽, 2010년 9월.
  4. Epstein, Alex, "Crafty Screenwriting: Writing Movies That Get Made", Holt McDougal, pp.109-110 , Jan 2002.
  5. 김중태, "소셜미디어의 새로운 흐름 - 커넥트, 게임, 협업, 크레디트, 지역", Digieco, 5-10쪽, 2009년 10월.
  6. Howard, David, "How to Build a Great Screenplay", St Martins Pr, 2007.
  7. David Kukoff, "Vault guide to screenwriting careers", Vault Inc, 2005.
  8. 윤달환 외 5명, "웹기반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개발",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 학술대회, 제30권 제1호, 1005-1006쪽, 2007년 7월.
  9. General Books LLC, "Screenwriting Software: Zhura, Sophocles, Movie Magic Screenwriter, Fivesprockets, Celtx, Screenwriting Software, Scripped, Movie Outline", General Books LLC, 2010.
  10. 정봉석, "기획논문 : OSMU 방식의 문화콘텐츠 제작 연구; OSMU 방식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연구", 석당논총, 1-7쪽, 2008년 9월.
  11. 김탁환, "디지털시대 전통 기록과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국학 진흥원, 국학연구, 제 12집, 296-308쪽, 2008년 6월.
  12. 전종홍, "소셜 웹 기술 표준화 동향", 정보과학회지, 제 28권 제3호, 16-23쪽, 2010년 3월.
  13. 이동균, "Ask My Friend : 소셜 컨텐츠 채널을 이용한 소셜 정보공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8호, 35-36쪽, 2010년 5월
  14. Jain, A. K., M. N. Murty, P. J. Flynn, "Data Clustering: A Review", ACM Computing Surveys, pp.264-32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