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ong-Term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in Metakaolin Concrete Bridge Deck

메타카올린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장기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관한 연구

  • 양은익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명유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양주경 (청운대학교 철도행정토목학과) ;
  • 박해균 (삼성물산 건설부문) ;
  • 최윤석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1.01.12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e requirement for durability of concrete bridge deck is increasing as the deterioration for the concrete bridge deck exposed to severe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concern about high-durable concrete is being high. Recently, a metakaolin is highly spotlighted as new admixture because its strength and durability are equivalent to silica fume.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few researches for the metakaolin concrete bridge deck in domestic. So many various long-term data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durability is needed to apply metakaolin concrete at the concrete bridge deck construction field. This study is aim to evaluate the long-term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metakaolin concrete bridge deck with curing age. Mechanical properties are estimated by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and the drying shrinkage, the chloride resistance, the scaling, and freezing and thawing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curing age.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metakaolin concrete is used, the development of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proceed in both the early and old ages. It is also improved the resistance of chloride penetration, freezing and thawing in concrete. It was showed that replacement of metakaolin was efficient for the reduction of the drying shrinkage.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내구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새로운 광물질 혼화재로써 실리카흄과 같은 수준의 강도와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메타카올린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메타카올린에 대한 연구 및 대체사용은 미진한 수준이며,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교량바닥판에 적용하기 위한 검토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교량바닥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역학적 특성 및 교량바닥판에 요구되는 내구성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적용한 교량바닥판의 장기적인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을 양생 재령에 따라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역학적 특성은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측정되었으며, 내구성의 경우는 건조수축, 염화물 저항성, 스케일링, 동결융해 저항성을 양생 재령에 따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메타카올린의 대체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 발현이 초기 및 장기 재령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내구성 측면에서도 염화물 침투 저항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건조수축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택, 박정준, 이종석, 김성욱,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23, No. 6A, 2003, pp.1133-1141.
  2. 김남욱, 여동구, 송준호, 배주성,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모세관공극 특성과 전위차 염소이온 확산계수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19, No. 4, 2007, pp.499-506.
  3. 박조범, 김호수, 전준영, 김은겸, 류득현,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20, No. 3, 2008, pp.307-315.
  4. 서진원, 이지영, 구본성, 심도철,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실험적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19, No. 4, 2007, pp.393-399.
  5. 송하원, 이창홍, 이근주, 김재환, 안기용,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및 내구성에 대한 고찰",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20, No. 4, 2008, pp.439-449.
  6. 원종필, 서정민, 이창수, 박해균, 이명섭, "실리카퓸을 혼합한 교면 포장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단기 및 장기 성능 평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17, No. 5, 2005, pp.743-750.
  7. 이문환, 이세현, "메타카올린과 페타이어 잔입자를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20, No. 1, 2008, pp.89-97.
  8. 이병덕, 윤병성, 이주광, 정영환, "제설제 종류에 따른 융빙성능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 7, No. 4, 2005, pp.113-123.
  9. 이상호, 문한영, "Metakaolin 혼합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예측",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Vol. 9, No. 2, 2005, pp.173-180.
  10. 이효민, "콘크리트 성능 향상을 위한 광물혼화제로서 메타카올린의 특성", 한국광물확회지, Vol. 16, No. 1, 2003, pp.41-50.
  11. ASTM C672(2003), "Standard Test Method for Scaling Resistance of Concrete Surfaces Exposed to Deicing Chemicals"
  12. ASTM C1202, "Standard Test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1994.
  13. Gruber, K. A., Terry Ramlochan, Andrea Boddy, R.D. Hooton, M. D. A. Thomas. "Increasing concrete durability with high-reactivity metakaolin", Cement & Concrete Composites, Vol. 23, 2001, pp.479-484. https://doi.org/10.1016/S0958-9465(00)00097-4
  14. Luc Courard, Anne Darimont, Marleen Schouterden, Fabrice Ferauche, Xavier Willem, Robert Degeimbre. "Durability of mortars modified with metakaolin",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2003, pp.1473-1479. https://doi.org/10.1016/S0008-8846(03)00090-5
  15. Michael. G., Fitch and Osama A., Abdulshafi., "Filed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Silica Fume Modified Concrete Bridge Deck Overlay in Ohio",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610, 1998, pp.20-27.
  16. NT Build 443, "Nordtest Method NT Build 443 Accelerated Chloride Penetration", 1995-11.
  17. Poon, C. S., Kou, S. C., Lam, L.,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diffusivity and pore structure of high performance metakaolin and silica fum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0, 2006, pp.858-865.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05.07.001
  18. Sabir, B. B., "Metakaolin and calcined clays as pozzolans for concrete: a review", Cement & Concrete Composite, Vol. 23, 2001, pp.441-454. https://doi.org/10.1016/S0958-9465(00)00092-5
  19. Tang, L., "Rapid Estimation of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by Applying an Electrical Field", ACI Materials Journal, Jan-Feb, 1992, pp.4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