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Factors to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Employees of A General Hospital in one Metropolitan City

한 광역시 종합병원 근로자의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대한 관련요인 연구

  • Yoo, Se-Jo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Hong, Jee-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Bae, Seok-Hwa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유세종 (건양대학병원 영상의학과) ;
  • 홍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배석환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existing studies of VDT syndrome have been researched only about for nurse groups without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workers who perform VDT task in general hospital placed in Daejun City such as insurance judgement, patient affairs, medical record management, medical computing service, hospital administration, and radiological s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October 15, 2009 to November 2, 200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of group A (age 20-29,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t clinical site, normal staff, and unmarried group) showed significant skin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mong recognition symptoms of VDT syndrome. Group B (age 30-39, 6-10 years experience at clinical site, managing staff, and married group) tends to be similar at orbital, whole body and muscles' frame response among recognition symptoms of VDT syndrom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dependent variable that is scores of recognition symptoms of VDT syndrome are as follows.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for orbital-related problem is gender, health cares and obstacles during daily life.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for whole body-related is exercise, stress and recognition for health condition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muscles' frame-related is 6-10 years experience at clinical site, human relationship, health cares and obstacles during daily life. These are proved to be similar by statistic analysis. There is small difference at recognition symptom of VDT syndrome between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other groups in general hospital. Yet, as the working circumstanc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gradually changes to VDT environment, the recognition symptom of VDT syndrome became conscious. This can be prevented by regular job rotation, which will escape the continuous repetition of working pattern.

병원 근로자의 VDT 자각 증상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 대부분이 간호사 관련 직종으로 한정되어 있고, 방사선사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09년 10월 15일부터 11월 2일까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에 VDT 작업을 시행하는 보험심사, 원무, 의무기록, 전산, 행정부서 근무자와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령이 20~29세, 임상경력이 5년 이하, 일반직원이며, 미혼인 대상자가 VDT 증후군 자각증상 중 피부, 심리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30~39세, 임상경력이 6~10년, 관리자, 기혼인 대상자가 VDT 증후군 자각증상 중 안관련 증상, 전신 증상, 근골격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VDT 증후군 자각 증상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선형회귀 분석 결과 관련 요인으로 안관련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면 성별, 건강염려, 일상생활 방해이며, 전신증상은 운동, 스트레스, 건강상태 인지 관련, 근골격 증상에서는 임상경력 6~10년, 대인관계, 건강상태 인지 관련 건강염려와 일상생활 방해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타부서 근로자와 방사선사의 VDT 증후군 자각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방사선사의 업무가 VDT 작업환경으로 변함으로써 VDT 증후군 자각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정기적인 순환근무를 시행함으로써 VDT 작업환경에 지속적인 노출을 피하는 것이 예방 대책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창, 홍창우: VDT 증후군 예방을 위한 사무실 작업자들의 VDT 작업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지, 19(2), 2-3, 2005
  2. LG 경제연구원: IT강국, 헬스케어 IT는 부진, LG Business Insight, 2009
  3. 김광환: VDT 작업자의 작업특성에 따른 자각증상비교,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4. Yammamoto S: Visual, Musculoskeletal and neuropsychological health complaints of workers using video display terminal and an occupational health guideline, Jpn J Ophthalmol, 31(3), 171-183, 1987
  5.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4(3),372-389, 1991
  6. 양세이: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7.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 작업에 따른 피로자각 증상, 예방의학회지, 24(3), 305-313,
  8. 박인순: 중․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실태와 VDT 자각증상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김인: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 장애- 자각증상, 대한산업의학학회지, 9(1), 141-150, 1989
  10. 박현숙: 전자통신업체 VDT 작업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