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연환경하에서 암석의 풍화특성과 풍화암석의 강도평가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under Natural Environment and Strength Evaluation of Weathered Rock

  • 투고 : 2011.10.07
  • 심사 : 2011.12.01
  • 발행 : 2011.12.31

초록

자연환경하에 있는 암석의 풍화특성과 풍화된 암석의 강도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아소 가족묘비석을 대상으로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크기가 다른 시료를 동일한 크기로 환산하여 탄성파 속도를 평가하는 크기 보정법과 새로운 암석 풍화지표로서 NET(Normalized Elapsed Time)를 제안하였다. 또한 NET을 이용한 암석 풍화 분류로부터 풍화암석에 대한 강도를 추정하였다. 용결응회암의 경우 탄성파 속도는 높고 속도저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안산암의 경우 탄성파 속도는 낮고 속도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다. $V_p/V_o$-NET 곡선에 근거한 NET를 이용할 경우 크기가 다른 다양한 암석에 대해 같은 크기로 풍화정도를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_c/S_o$-NET 곡선에 의한 NET을 이용하여 암석의 풍화단계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이것으로부터 풍화 암석에 대한 강도추정도 가능하였다.

Wave velocity was measured to define th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and the strength evaluation of weathered rock on a target of the Aso gravestones with various siz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size correction method which was changed sample of the different size to one of the same size for evaluating wave velocity was proposed, and also suggested the NET (Normalized Elapsed Time) as a new weathering index of rock.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weathered rock was estimated from the weathering classification of rock using the NET. Wave velocity of welded tuff was high and didn't show velocity degradation, on the other hand, one of andesite was low and showed velocity degradation. The degree of weathering between rocks of the different size is considered to be comparable, applying the NET based on the on the $V_p/V_o$-NET curve.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of rock weathering stages using the NET based on the $S_c/S_o$-NET curve was available, and the estimation of strength for the weathered rock was also possi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승, 김종인, 오바라 유조, 히라타 아츠오, 2011, 동결융해시험에 의한 사암 및 안산암의 풍화특성 평가, 터널과 지하공간, 21, 145-150.
  2. 곽진철, 백환조, 2000, 풍화에 의한 국내 편마암체의 지질공학적 물성의 변화, 한국자원공학회지, 37, 262-271.
  3. 권오일, 백용, 임성빈, 서용석, 2007, 국내 주요 암종별 사면의 동결-융해에 의한 열화심도 계산, 대한지질공학화지, 17, 3, 359-365.
  4. 김성수, 박형동, 1999, 인공풍화실험을 이용한 석재 물성의 변화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6, 141-149.
  5. 김영화, 홍순호, 1990, 풍화현상에 수반하는 화강암의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23, 2, 221-232.
  6. 박연준, 유광호, 양광용, 우익, 박찬, 송원경, 2003, 동결-융해 시험에 의한 화강암의 풍화 특성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13, 3, 215-224.
  7. 송원경, 우익, 김복철, 2009, 풍화가속실험을 통한 독도 암체의 풍화특성 분석, 터널과 지하공간, 19, 4, 318-327.
  8. 엄정기, 신미경, 2009, 경남 함안군 백악기 이암의 동결-융해에 따른 물성변화 및 미세균열 발현특성, 터널과 지하공간, 19, 2, 146-157.
  9. 장현식, 장보안, 이준성, 2004, 강원도 횡성군 풍암분지 백악기 셰일의 동결-융해에 따른 지질공학적 특성 변화, 대한지질공학회지, 14, 4, 401-416.
  10. 정형식, 유병옥, 1997, 암석의 풍화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 및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3, 6, 71-93.
  11. 조태진, 이상배, 황택진, 원경식, 2009, 풍화진행에 따른 한라산조면암의 역학적 특성변화, 터널과 지하공간, 19, 4, 287-303.
  12. 中村康夫, 石塚克己, 1984, 岩石の耐久性試驗の比較, 応用地質 第25卷 第4号, 171-181.
  13. Chigira, M., 1990, A mechanism of chemical weathering of mudstone in a mountainous area, Engineering Geology, 29, 119-138. https://doi.org/10.1016/0013-7952(90)90002-I
  14. Jayaverdena, U. de S. and Izawa, E., 1994, A new chemical index of weathering for metamorphic silicate rocks in tropical regions: a study from SriLanka, Engineering Geology, 36, 303-310. https://doi.org/10.1016/0013-7952(94)90011-6
  15. Nicholson, D. T. and Nicholson, F. H., 2000, Physical deterioration of sedimentary rocks subjected to experimental freeze-thaw weathering,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5, 1295-1308. https://doi.org/10.1002/1096-9837(200011)25:12<1295::AID-ESP138>3.0.CO;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