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urface Pattern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한국 전통문양의 Surface Pattern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전지은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 박영미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Received : 2011.09.02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extile fabrication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has grown very attentive as fashion icons in recent so that designers, especially, who want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may be a public interest and introduce their own culture to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by more focusing of our culture, Korean textile designs that is applicable our traditional motif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also its motifs could be comprehensibly got the spirit and the inherent meaning, and should be fuse with modern touch and developed practical design in daily life. Of all many different patterns, this paper placed an emphasis on three of main traditional motifs as a floral arabesque pattern, ivy pattern and butterfly pattern. The traditional motifs were applied through a hand-made technology and the professional design program of TexPro, and then the textile design was simulated by Photoshop to approaching the apparel design. Through these produced artworks, we have conscious that the oriental images have associate traditional meaning and the traditional design tried to express co-existence past and present. Moreover, we believe that the surface pattern design of textile for printing was good chance to relive the traditional meaning, and the tradition is recognized not mere old and expects more advance with applications.

Keywords

References

  1.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 문양, 대원사, p.6.
  2. 이연순, 엄지은(2006),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pp.149-161.
  3. 김신정(2007), "떡살 문양을 이용한 교체장신구 디자인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1-15.
  4. 모지현(2008),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 단청문양 패턴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3-63
  5. 김형기(2009),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1-16
  6. 김화정(2007),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어패럴 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7
  7. 김현정(2004), "한국 전통문양과 서양문양을 중심으로 한 패션 아이템에 표현된 문양의 감성이미지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8
  8. 현선희, 배수정(2007), "패션문화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한국전통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6), pp.985-996.
  9. 장수경, 김재숙(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 유형, 구성 형식 및 적용 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pp.214-225.
  10. "Color map, Proposed Color",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1. 03. 28,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1.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otifs",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자료검색일 2011. 03. 28, 자료출처 http://www.culture.go.kr
  12. 허균(2000), 전통문양, 대원사, p.14.
  13. 라사라교육개발연구원(1993), 어패럴 소재기획, (주)라사라, p.181.
  14. 이선화(1991), 텍스타일 디자인, 미진사, p.7.
  15. 이연순, 권현정, 이정은(2008), "한국 전통 당초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pp.479-488.
  16. 박영미, 박경순(2009), "전통문양과 친환경소재를 활용한 패션소재기획",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pp.1103-1113.
  17. 손강아(2007), "당초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장신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2-20
  18. 성미정(2004),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연구: 수.복 문양의 직물 개발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48
  19. 이선화, 금기숙1993),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 TEXTILE DESIGN 연구- 회화를 활용한 PRINTING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21, pp.113-128.
  20. 송하영(2007), "텍스타일 CAD의 직물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자카드 직물디자인 연구-꽃의 추상적 이미지를 응용한 인테리어",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2), pp.49-57.
  21. 변영희, 채금석(2007),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연구- 옵티컬 패턴(Optical Pattern)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뷰티학회지, 5(1), pp.87-96.
  22. 김칠순, 조용주(2008), "한국화 모티브를 활용한 어패럴용 텍스타일 CAD 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3), pp.101-110.

Cited by

  1. A study on Artistic Effect of Makinori on Textile Design vol.13, pp.3, 2013, https://doi.org/10.17280/jdd.2013.13.3.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