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revious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 Focused on Textile & Clothing related Part -

전통문양의 활용에 관한 기존연구 분석 - 의류학 분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6.22
  • Accepted : 2011.10.10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the design processe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by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For this purpose, 96 studies which includ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8 Korean academic journals on Clothing from 2000 to 2010 were chos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they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 on clothing design, research on textile design, research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modities, and research on mixed design. Second, the researches tha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year of publication. It was shown that the most active research was on the clothing design. The research on textile design, when compared with clothing design, alternated an increase and an decrease in every other year. Also, research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modities were fewer than the research on clothing design or textile design although it is on the increase from 2008. Thir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designs based on a flora were most common. Fourth, in most cases, in the process of the designs, the designswere dispensed with the original form or were simplified. The choice of the tone of color, in most cases, were based on the concept selected by the designer. The most common method for the expression of the designs was based on the printing. Also, when it came to the presentation of the designs, the original work greatly outnumbered an imaginary work.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designs which, in turn, can popularize the aesthetic beauty of Korea.

Keywords

References

  1. 박미령, 김상률(2006), "유용생물 자원을 이용한 천염염료의 개발 및 문화상품 전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p.665.
  2. 김미영, 김경희(2008),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연구", 복식문화연구, 16(4), p.722.
  3. 이소진(2006),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문양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2.
  4. 정진순(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제작(I)",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 p.142.
  5. 정진순(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제작(II)",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p.421.
  6. 김종순, 장정대(2007), "반구대 암각화를 응용한 스카프디자인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3), p.262.
  7. 이유리, 이미영(2007), "패션마케팅분야의 4년제 교육과정과 복식지 동향비교", 복식, 57(5), pp.123-139.
  8. 백경진, 김미영(2004), "화장에 관한 기존연구 유형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2(1), pp.182-198.
  9. 김미영, 김경희(2008),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연구", 복식문화연구, 16(4), p.724.
  10. 현선희, 배수정(2007), "패션문화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한국전통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6), pp.987.
  11. 전중자, 조진숙(2010), "민화에 표현된 연꽃 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발상", 복식문화연구, 18(4), p.745.
  12. 이수정(2004),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49.
  13. 정선영(2010), "한국단청의 꽃문양을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전보라(2010), "전통 창살문양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수경(2005), "고려청자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곽경택(2008), "민화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한 디지털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성실(2005), "한국의 미의식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한 직물디자인 연구 -떡살문양을 응용한 식탁보 디자인-",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은승(2000),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꽃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대의(2010),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승은(2008), "당초문양을 응용한 현대패션 구두디자인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최서연(2006), "사찰건축의 창살문양을 응용한 액서서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우미, 나우정(2002), "전통문양의 현대화를 중심으로 한 요식업계의 유니폼 및 소품디자인 개발", 복식, 52(2), p.85.
  23. 최승연, 이미숙, 신윤숙(2006), "전통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4(1), pp. 103-104.
  24. 최재영(2006), "보상화문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4-65.
  25. 구세이(2001), "한국전통 태극문양을 응용한 Cap 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1.
  26. 황은영(2001), "조선시대 길상어문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1.
  27. 전소연(2006), "조선시대 자수베겟모 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0.
  28. 김혜경, 이지영, 이혜성(2004), "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p.415.
  29. 김미영, 김경희(2008),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연구", 복식문화연구, 16(4), p.723.
  30. 전중자, 조진숙(2010), "민화에 표현된 연꽃 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발상", 복식문화연구, 18(4), p.748.
  31. 정진순(2009), "조선청화백자에 표현된 사군자 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패션제품제작",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247.
  32. 서혜선(2003), "꽃담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다문화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5.
  33. 정진순(2009), "조선청화백자에 표현된 사군자 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패션제품제작",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422.
  34. 김혜경, 이지영, 이혜성(2004), "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p.417.
  35. 이미석(2006), "고구려 와당문양을 응용한 문화 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6(6), p.90.
  36. 김병미(2009), "한국적 문양의 자카드직물 개발에 의한 한스타일 교복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1), p.128.
  37. 이명준(2009), "한국적 색채에 기초한 자수문양 및 드레스 디자인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77.
  38. 문명옥(2007), "꽃문을 응용한 의상 작품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3), p.274.
  39. 기희숙, 서미아(2009), "전통문양을 응용한 여성복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2), p.50.

Cited by

  1. Development of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s - Focused on laser cutting techniques- vol.38, pp.None, 2011, https://doi.org/10.21326/ksdt.2013..38.006
  2. 창덕궁 희정당(熙政堂) 창살문양을 활용한 신한복 코트 디자인 개발 vol.24, pp.3, 2020, https://doi.org/10.12940/jfb.2020.24.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