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gnition of Design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 Jin, Hye-Young (Div. of Horticulture and Educ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Song, Jeong-Hwa (Div. of Horticulture and Educ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Shin, Ji-Hoon (Dept. of Green &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1.12.2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

Keywords

References

  1. 구영일, 2005, 한국 현대조경 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효경, 2010, "조선시대 와유문화로 해석한 전통조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2009, "동양 전통정원의 형식과 특성".
  4. 박해영, 2008,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정원유적에 나타난 자연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자유, 2007, "틈 개념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 : 소쇄원을 사례연구로 하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신병철, 2003, 전통조경요소의 시각적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39-47.
  7. 이재근, 1991, 한국정원의 전통성 구현을 위한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 Expo'90 오사카 꽃 박람회 한국전시장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9(1), 61-80.
  8. 정성혜, 심우경, 1996,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경관선호에 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104-112.
  9. 정일환, 2010,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의 전통성 증진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경진, 김정호, 2001, "조경설계에 있어서 전통정원의 현대적 재현의 특성 : 파리 서울공원 현상공모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84-95.

Cited by

  1. 정원 기능에 대한 인식 비교 vol.48, pp.2, 2020,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