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ormulating the Classification Model for Smartphone's Satisfaction Factors

스마트폰 만족요인 분류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Zhu, Bo (Department of M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Won (Department of M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Wook (Department of M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주보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김태원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김상욱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1.07.25
  • Accepted : 2011.09.2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rapid spread of the Smartphone usage among the public has brought great changes to the overall society. Aiming to gain their competitiveness with better Smartphone service quality, manufacturers are endeavoring to keep the pace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internet and social changes. Researches on the Smartphone service quality are actively undergoing in the academic circles as well. A great many of studies ranging from the past mobile services to the recent Smartphone services have thus far focused on proposing the systematic arrangement and the typology in terms of service quality, which in turn have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broaden the scope of comprehension. Besides technical aspects of the mobile and Smartphone services, the earlier studies in the behavioral domain, however, only took into considerations the positive aspect of user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ervices via new media devices like Smartphone. The rationale behind this mainly comes from the assumption that as the opposite definition of satisfaction is dissatisfaction, the services are not adopted if dissatisfied. However, it is not always true to conclude that service users are satisfied when the service is functionally fulfilled and dissatisfied otherwise. That is because there exist some cases that quality attributes provide satisfaction when achieved fully, but do not cause dissatisfaction when not fulfilled. And there also exist other cases that quality attributes are taken for granted when fulfilled but result in dissatisfaction when not fulfilled. To account this multi-dimensional featur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in relation with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took advantage of Kano model following the identification of a set of the Smartphone service quality attributes by investigating the previous studies. Categorizing of the service quality elements reflecting the customers' needs would perhaps help manage Smartphone service quality, enabling business managers to identify which quality attributes more emphasis to put on and what strategy to establish for the future.

스마트폰이 최근 일반 대중의 생활 속으로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스마트폰 서비스 품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존 연구들은 모바일 및 스마트폰 서비스에 대한 만족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이론적 토대와 이해의 폭을 넓혀주었다. 이들 연구는 주로 서비스에 대한 이용 동기 및 만족을 살펴봄에 있어서 사용자 행위의 긍정적인 한 측면만을 고려함으로써 "만족의 반대개념은 불만족이며 불만족하면 이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가정을 바탕에 두고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차원적인 해석으로는 "과연 고객이 서비스가 충분하다고 해서 만족하는가?" 또는 "서비스가 불충분하다고 해서 만족하지 않는가?"의 대답에 "그렇다"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만족과 불만족이 양극단에 존재하는 연속체가 아닌 사용자가 인지하는 다른 차원의 개념일 수 있다는 호기심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ano 모델의 분석방법을 활용 및 보완하여 스마트폰 서비스 만족요인들을 분류하는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스마트폰의 만족요인들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추출하여 일원적 품질요인과 이원적 품질요인으로 구분한 뒤, 다시 이원적으로 구분된 요인들에 대하여 매력적 품질요인과 당연적 품질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 3가지 성격의 품질요인들로 분류함으로써 충족과 만족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일원적 요인뿐만 아니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력적 품질요인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당연적 품질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준,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제1권, 제1호, 2010, pp. 55-83.
  2. 기하영, 민마로한, 임하진, "한국 스마트폰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경향: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뉴미디어연구소, 2010.
  3.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2010, pp. 318-326.
  4. 김연성, 박상찬, 박영택, 서영호, 유한주, 이동규, "품질경영론", 박영사, 2004.
  5. 김호영, 김진우, "모바일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2002, pp. 89-113.
  6. 내가영, "모바일 SNS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만족감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류한주, "일본기업의 분임조활동 동향에 관한 연구 :F 사의 F1T 활동을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제23권, 제4호, 1995, pp. 1229-1998.
  8.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돌파, 스마트 시대 본격 개막", 2011년 3월 24일자 보도자료.
  9. 배재권, 정화민, "스마트폰 기능적 속성이 채택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4호, 2008.
  10. 삼성경제연구소,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CEO Information, 제741호, 2010.
  11.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2011, pp. 227-251.
  12. 송상민, "QFD를 활용한 스마트폰의 서비스 품질 향상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송재기, 박용, 신선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사용자 만족강화에 관한 연구: 사용자 중심 서비스의 쾌락적 관점에서",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2010.
  14. 임정훈, 민대기, 김광재, "Kano 모형에 기반한 소비자 요구사항 분류: 퍼지 접근방법", 품질경영학회지, 제31권, 제3호, 2003, pp. 98-113.
  15.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현사, 2003.
  16. 최승일, 김이태, 김진섭, "모바일기기의 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4권, 제3호, 2006.
  17. 최원석, 스마트폰 기능적 속성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8. 한국소비자원, "스마트폰 이용 만족도 비교정보 조사 결과", 2010.
  19. 한국인터넷진흥원,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2010.
  20. Brian, D., "Design that sells and sells and", Fortune, March 11, 1991, pp. 86-94.
  21. Chowdhary, N. and M. Parakash, "Service Quality: Revisiting The Two Factor Theory", Journal Services Research, Vol.5, No.1, 2005, pp. 61-75.
  22. Durlacher Research, "Mobile Commerce Report", 1999 .
  23. Fitzsimmons, J. A. and R. S. Sullivan,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McGraw-Hill, New York, 1982.
  24. Herzberg, F., B. Mauner, and B. Snyderman, "The Motivation to Wor",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59.
  25. Juran, J. M., "Universals in management planning and controlling", Management Review, Vol.43 No.11, 1954, pp. 748-761.
  26. Kano, N., N. Seraku, and F. Takahashi, "Attractive Quality and Must-be Quality", The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Vol.14, No.2, 1984, pp. 39-48.
  27. Laudon, K. and J. Laud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rentice Hall, 2006.
  28.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8.
  29. Shewhart, W. A., "The Economic Control of Quality of Manufactured Product", Van Nostrand, New York, 1931.
  30. Wikipedia(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8A%A4%EB%A7%88%ED%8A%B8%ED%8F%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