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bate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의약품 리베이트의 원인과 처방에 관한 신제도론적 해석

  • Lee, Ha-Yo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ng-Jin (Office of Health Polic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하영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 권용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책실)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03.23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ause of policy non-compliance in the case of pharmaceutical rebates from the perspective of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In Korea, there have been rebates practices between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hospital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ctual Remuneration System for insured medicine in 1999. The government has chosen the policy means of punishment to eliminate pharmaceutical rebates but the illegal practices are still widespread. Institution in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usually reflects the incentives and preferences of actors, and the Actual Remuneration System has resulted in a the lack of procedures to ensure savings on drug expenditures. Pharmaceutical rebates are the product of the institutions which reflect their incentives: the Actual Remuneration System, the current pricing policy for generic drugs, the drug distribution system, and so on. In the end, the problem of the rebates is the consequence of policy non-compliance as actors' rational choice because their incentives lead to opportunistic behaviors. We should therefore understand the incentive structure of policy stakeholders, which is derived from the view of new institutionalism; also, the newly designed Korean drug pricing policy reform must be compatible with the incentive structure.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국민건강보험 약제비 관리실태. 2008.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 등재가 결정방식 및 개선방안 연구. 2007.
  3. 고병희. 제약산업과 공정거래정책. 의약품 유통질서 투명화를 위한 토론회. 국회보건의료포럼. 2008:9-28
  4. 공정거래위원회. 7개 제약회사의 부당고객유인행위 등에 대한 조치결과. 2009.
  5. 국가청렴위원회. 의약품분야 제도개선방안 보고서. 2005.
  6.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2009 보건복지가족부 국정감사. 2009.
  7. 김계현. 의약품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방안의 내용과 향후전망. 의약품 판매장려금(리베이트) 무엇이 문제인가. 의료정책포럼 2010;8(1):12-17.
  8. 김성옥 김영숙. 보험약가제도 합리화방안.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09.
  9. 김영평.최병선.신도철. 규제의 역설. 서울:삼성경제연구소;2006.
  10. 김일중. 규제와 재산권. 서울:자유기업원;1995.
  11. 김진현. 우리나라 보험약가 관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건강보험포럼 2002;1(2):14-30.
  12. 김주현. 정책집행의 불응에 관한 실증적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1998.
  13. 김창엽. 의약분업: 시장실패 또는 정부실패. 사회비평 2002;32.
  14. 노화준. 정책학원론. 서울:박영사;1995.
  15. 류충열. 의약품 불법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대책 제언.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18-27.
  16. 문옥륜. 의료보장론. 서울:신광출판사;2000.
  17. 박상주. 정책불응에 관한 합리선택론적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1998.
  18. 박인춘. 리베이트 근절방안 및 보험약가제도 개선.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41-47.
  19. 배점모. 해운조직에 있어서 정책불응의 원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 고려대학교대학원;1995.
  20. 변재환. 신구(新舊) 의료보험 약가제도에 대한 이해. 한국보건경제학회 2000년 춘계 학술발표회 자료집.
  21. 부패방지위원회. 의약품 리베이트 근절방안. 2005.
  22. 보건복지가족부. 리베이트제공 의약품 보험약가 인하 시행. 2009.7.30.
  23. 보건복지가족부.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 2010.2.
  24. 보건사회연구원. 의약품유통거래투명화 및 물류 선진화방안 연구. 서울;보건사회연구원:2007.
  25. 송현호. 신제도이론. 서울:민음사;1998.
  26. 송호근. 의사들도 할말있었다. 서울:삼성경제연구소;2001.
  27. 안해균. 정책학원론. 서울:다산출판사;1990.
  28. 양봉민. 보건경제학. 서울:나남;1999.
  29. 양주하. 제약산업의 공정경쟁 및 윤리경영.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6-17.
  30. 양채열. 보험약가제도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안: 유인합치성 관점에서. 국제경제연구 2002;8(2):249-264
  31. 유근춘 이의경 정형성 김은정. 보험의약품 실거래가 상환제도 평가.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32. 윤희숙. 건강보험약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한국개발연구원;2008.
  33. 윤희숙. 의약품정책이 주범이다. 조선일보 2009년 4월 24일자
  34. 이명석. 합리적 선택론의 신제도주의. 정용덕 외 편. 합리적선택과 신제도주의. 서울:대영문화사;1999. 9-30.
  35. 이민창. 정책변동의 제도론적 분석: 그린벨트와 영월댐 사례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01.
  36. 이민창. 자율규제의 재산권이론적 함의: 김해 대포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2004;42(3):75-103
  37. 이민창. 정책갈등현상의 제도론적 해석 -NIMBY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05; 14(1):71-96.
  38. 이민창. 자율규제의 재산권이론적 함의: 김해 대포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2006;42(3):75-103.
  39. 이봉의.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 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서울대학교법학 2009;50(4):195-220.
  40. 이봉의. 의약품판매 장려금(리베이트) 무엇이 문제인가? - 법학적 시각에서. 의약품 판매장려금(리베이트) 무엇이 문제인가. 의료정책포럼 2010;8(1):18-27.
  41. 이 송. 현행 약가제도 폐지 및 대안과 건보재정 선순환 건의.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28-33.
  42. 이 송. 의약품 유통질서 투명화를 위한 토론회. 국회보건의료포럼. 2008:51-56.
  43. 이상영. 의약품 유통질서 투명화를 위한 의약품 구조개선대책. 국회보건의료포럼. 2008:59-62.
  44. 이의경 외. 의약품 유통 비교분석을 통한 소비자후생 증대방안. 소비자문제연구 2008;33:123-148.
  45. 이의경. 건강보험 약가 정책의 문제와 발전방향. 건강보험포럼. 2006;여름호:2-14.
  46. 이의경.배은영.이태진.·최용준. 박은자.김동숙. 보험의약품의 급여관리제도 개선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3.
  47. 이혁우. 정책사례연대상으로서의 예기치못한 결과. 행정논총 2009;47(1):367-394.
  48. 정인석.이상직. 약제비 관리방안으로서 저가구매 인센티브제도. 보건사회연구 2009;29(2):243-267.
  49. 정우진. 의료정책의 정치경제학: 건강보험 약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02;11(4):99-134.
  50. 정정길. 정책학원론. 서울:대명출판사;2003.
  51. 조남현. 리베이트 근절하되 순기능은 살려야.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34-40.
  52. 조경애. 국민의 입장에서 본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문제점과 대책.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의약품정책연구 2009;4(2):48-55.
  53. 진영곤. 의약품 리베이트 근절을 통한 제약산업 발전정책. 청와대 정책소식. 2010.3.18
  54. 최진우. 의약품판매 장려금(리베이트) 무엇이 문제인가? - 경영학적 시각에서. 의약품 판매장려금(리베이트) 무엇이 문제인가. 의료정책포럼 2010;8(1):28-33.
  55. 최병선. 정부규제론. 서울:법문사;1992.
  56. 최병선. 정책연구 얼마나 과학적인가: 윌다브스키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의 관점과 방법. 서울:법문사;2007.
  57. 최병선. 정책사례연구 다시보기: 사례연구에 대한 오해와 편견. 한국정책학회보 2006;15(1):171-197.
  58. 최병선. 한국 정책학 발전을 위한 정책학 교육과제. 한국정책학회보 2010;19(1):1-9.
  59. 최희경.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사회과학 2010;27:133-165
  60. 하상근. 정책불응연구. 서울:금정;2006.
  61.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서울:다산출판사;2003.
  62. 홍명수. 독점규제법상 리베이트 규제의 검토. 법과사회 2008;34:373-393.
  63. Alchian A, Demsetz H. The Property Right Paradigm. Journal of Economic History 1973;33(1):16-27. https://doi.org/10.1017/S0022050700076403
  64. Anderson J E. Public Policy Making. 3rd ed.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4.
  65. Cheung S. A Theory of Price Control.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1974;17:54-71.
  66. Coase R. The Problem of Social Cost.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1960;4:1-44.
  67. Duncan W J. Organizational Behavior(2nd ed.). Boston : Houghton Miffin Company; 1981.
  68. Coombs F S. The Bases of Noncompliance with a Policy. in John G. Grumm and Stephen L. Wasby(eds.). The Analysis of Policy Impact. Lexington: Health; 1981.
  69. Greenberg G D. Jeffery A M, Lawrence B M & Bruce C. Developing Public Policy Theory: Perspectives from Empirical Research.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1977;71(4):1532-1543. https://doi.org/10.2307/1961494
  70. Meter D S. & Horn C E.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Administration and Society 1975;6(4):455-488.
  71. Horn M J. The Political economy of public administration. Cambridge: Chanbridge University Press; 1995.
  72. Niskanen W.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Chicago : Aldine; 1971.
  73. North D C.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74. Sabatier P, Mazmanian D. Can Regulation Work?. New York: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1983.
  75. Simon H. Rationality as a Process and as a Product of Thought. American Economic Review 1978;68:1-16.
  76. Young O R. Compliance and Public Authority: A Theory With International.Baltimore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Cited by

  1. The Effect of Korean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Program on the Prescription Rate of Drug-Drug Interactions vol.24, pp.2, 2014, https://doi.org/10.4332/KJHPA.2014.24.2.120
  2. The Impact of Unfair Trade Restrictions on Corporate Behavior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Dual Punishment System in Korea vol.12, pp.4, 2016, https://doi.org/10.5392/IJoC.2016.12.4.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