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aradigm for the Semiotical Interpretation of Rimmed Make-up

림드 메이크업의 기호해석 패러다임

  • Kim, Hyun-Mi (Dept. of Beauty Art, Cheju Halla University) ;
  • Jang, Ae-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현미 (제주한라대학교 뷰티아트과) ;
  • 장애란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11.0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an importance of systemic analysis paradigm to interpret fashion make-up. This research employed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theory to analyze data. This theory consists of three step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work: (1) recognition of form, (2) analysis of connotation meanings, and (3) analysis of symbolic meanings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Jean Paul Gaultier's eye make-up uses a square pattern that mostly consists of the color black. He presents a Glam Rock image by using rimmed make-up that portrays an avant-garde and a nonmainstream culture. Jean Paul Gaultier's make-up was showing black color and square eye pattern and was presenting Glam Rock image and was a rimmed make-up meaning a nonmainstream culture and Avant-garde symbolically. Chanel's make-up emphasizes the eyehole with the rimmed technique by applying the make-up of Marchesa Casati and including non-popularity, Limited Marketing symbolically. Christian Dior's make-up applies the representative make-up of Joan of Arc and Siouxsie sioux and also uses rimmed make-up to portray the meaning of religion persecution, the dark-ages militarism and including Humanism symbolically.

Keywords

References

  1. 최은지 (1999), 아방가르드 패션을 위한 메이크업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2. 장애란 (2007), John Galliano 컬렉션의 패션 메이크업에 나타난 통속성, 복식, 57(6), p. 75.
  3. 이주현 (2003), 현대패션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에 관한 연구-2000년대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4. 김영인 외 (2006), 룩 패션을 보는 아홉가지 시선, 파주: 교문사, p. 89.
  5. 김현미, 장애란 (2009), Christian Dior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모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복식, 59(3), pp. 14-26.
  6. 김현미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미, 김숙현, 장애란 (2010), Alexander McQueen 컬렉션에 표현된 메이크업의 도상학적 해석, 복식, 60(10), pp. 118-132.
  8. John Galliano Fall 2003 Ready-to-Wear Collection, Style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11, August 1, from http://www.style.com
  9. 이귀영 (2008), 존 갈이아노의 패션 디자인연구 -의상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7.
  10. 손향미 (2007), 현대의 뷰티 및 패션에 나타난 혼성모방 분석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의복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3.
  11. 오정희 (2005), 패션쇼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메이크업 연구 -90년대 이후 패션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0
  12. 이경은 (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2.
  13. 김현미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0-61.
  14. Christian Dior Fall 2003 Ready-to-Wear Collection, Style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11, August 1, from http://www.style.com
  15. 이귀영 (2008), 존 갈이아노의 패션 디자인연구 -의상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7.
  16. 오정희 (2005), 패션쇼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메이크업 연구 -90년대 이후 패션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17. 장현숙 (2004),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패션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18. 이경은 (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1-152.
  19. 김현미, 장애란 (2009), Christian Dior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모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복식, 59(3), pp. 22-23.
  20. 오정희 (2005), 패션쇼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메이크업 연구 -90년대 이후 패션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51.
  21. 이경은 (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1.
  22. 이귀영 (2008), 존 갈이아노의 패션 디자인연구 -의상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46-147.
  23. 장현숙 (2004),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패션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24. 양진희 (2006), 20세기 미술사조가 현대 메이크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2 (2), p. 70.
  25. 김현미, 장애란 (2009), Christian Dior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모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복식, 59(3), pp. 23-24.
  26. 김병익 (1998), 기호와 해석, 서울: 문학과지성사, pp. 11-13.
  27. Kroehl, H., 2.000 communication design, 최길렬 역 (1993), 현대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서울: 국제, pp. 15-21.
  28. Kroehl, H., 2.000 communication design, 최길렬 역 (1993), 현대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서울: 국제, pp. 22.
  29. Hawkes, T. (1977), Structuralism and Semiotics, 오 원교 역 (1982), 구조주의와 기호학, 서울: 신아사, pp. 114-115.
  30. 김현미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2-3.
  31. Chetham, M. A., Holly, M. A., Moxey, K. (2007), (The)Subjects of Art History: History Objects in Contemporary Perspective, 조선령 역 (2007), 미술사의 현대적 시각들,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p. 104.
  32. Kaemmerrling, E. (1973), Ikonographie und Ikonologie: Theorien Entwickung, 노성두 외 역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 71.
  33. 김현미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51-52.
  34. 김현미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p.67.
  35. Jean Paul Gaultier Spring 2011 Ready-to-Wear Collection, Style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11, August 1, from http://www.style.com
  36. Chanel, 2010 Resort Collection, Style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11, August 1, from www.style.com
  37. 이기철 (2006), 베네치아 역사와 카니발 -전통과 현대의 조화, 자료검색일 2011. 8. 1, http://k.daum.net/qna/file/view.html?qid=33HAz
  38. 엘르 편집부, Elle Korea Online, 자료검색일 2011. 8. 1, http://old.elle.co.kr/beauty/featureView.html?AI_ IDX=7459
  39. McDowell, C. (1998), Galliano. New York: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pp. 115-116.
  40. Christian Dior, Fall 2006 couture Collection, Style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11, August 1, from http://www.sty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