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Green Drying System Using Waste Heat from Charcoal Kiln

폐열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건조시스템 개발

  • Kwon, Gu-Joong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ng-Mi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Jae-Hyeok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Won-Joung (Div. of Environmental Wooden Material Engineering. Dept. of Green Resources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권구중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권성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장재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황원중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환경소재공학과)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Received : 2011.10.27
  • Accepted : 2011.11.17
  • Published : 2011.11.25

Abstract

This study was pre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drying system for utilizing heat wasted during carbonization process. The green drying system utilizing waste heat is one of environment-friendly equipments because it needs no other energies from fossil fuel and etc. In this study, waste heat from three kilns was collected by stainless connection pipe, and in the green drying syste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hardly changed. Charcoal charecteristics as fixed carbon, refining degree, hardness, pH, calorific value, and charcoal yield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kiln performance due to installation of green drying system. As a result, the green dry system installation hardly aff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coal. In conclusion, the green drying system can be applied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 farm household income and contribute to reduce fossil energy.

본 연구에서는 탄화과정 중에 탄화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하기 위해서 친환경건조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친환경건조시스템은 화석연료를 전혀 이용하고 있지 않고,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친환경건조시스템의 열원으로 이용되는 열수는 3개의 탄화로에 서로 연결되어 폐열을 회수하고 있고, 지속적인 열원의 공급으로 건조기내의 온도와 습도변화는 크지 않았다. 친환경건조시스템 설치가 목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탄소, 정련도, 경도, 발열량, pH, 단위중량당 발열량, 수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친환경건조시스템 설치가 목탄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로 이용하는 친환경건조시스템은 에너지절감과 농산물의 건조품질을 향상시켜 농가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구중, 권성민, 장재혁, 황원중, 김남훈. 2011. 개량형탄 화로를 이용한 제탄과정 중 탄화로 내.외벽 온도변화 및 목탄특성. 목재공학 39(3): 230-237.
  2. 권구중, 박형수, 이성재, 권성민, 이귀현, 김남훈. 2008. 숙련공에 의한 목탄제조과정 중 전통식 탄화 내의 온도변화(I). 산림바이오에너지 27(1): 30-35.
  3. 국립산림과학원. 2007. 목재의 규격과 품질. 국립산림 과학원 고시 제2007-8호
  4. 국립산림과학원. 2010. 목탄의 품질인증기준.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10-06호
  5. 김병로, 공석우. 1999. 미이용 목질폐잔재의 탄화 이용 개발(I)-수종의 간벌재 탄화와 탄화물의 특성-. 목재공학 27(2): 70-77.
  6. 김영일. 2009. 유가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0(4): 471-492
  7. 김영중, 유영선, 장진택, 강금춘, 이건중, 신정웅. 2000. 온풍난방기의 배기열을 이용한 지중 난방용 온수공급 시스템의 열회수특성. 농업기계학회지 25(3): 25-29.
  8. 박정래. 1992. 배가스의 폐열회수를 위한 직접 접촉열과 환기에서의 열전달 현상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9. 이충구, 이세균, 이계복, 이석호, 유인선. 2005. 폐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폐열 회수 열교환기에 관한 연구. 에너지공학 14(4): 248-258.
  10. 정재훈, 김우철, 이진호, 유태우. 2010. 소규모 산업 폐열 회수용 열전발전시스템의 출력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34(4): 383-390.
  11. Abe F. 1988. The thermochemical study of forest biomass. Bull. For. & For. Prod. Res. Inst. 352: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