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Feel/Sense and Purchase Behavior among NIKE, PUMA, and KUHO POP-UP Store Visitors

나이키, 퓨마, 구호 팝업 스토어 방문자들의 팝업 체험감성 및 구매행동 비교 연구

  • Kim, Sun-Young (The Graduate School of Art Fusion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Kim, Chil-Soon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김선영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
  • 김칠순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8.30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 case study of pop-up stores in an apparel company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different feel and to determine the purchase behavior of pop-up visitors of three major fashion bran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econdary data collection and primary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NIKE, KUHO, and PUMA pop-up store visitors who were 20 to 40 years old, via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on-line and off line at the pop-up sto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rough data analysis, we learned that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aptivated by the digital elements in the environment of the NIKE pop-up store. Puma, the second most favorably ranked, was favored for its interior design. Meanwhile, KUHO stimulated its customers with its limited edition fashion products at a good price. Several feels of visitors about the pop-up st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different bra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criteria, such as brand recognition, size, and design among visitors of the three different brands. Visitors who preferred KUHO considered design of products more than NIKE-preferred visitors. In conclusion, the clothing pop-up stores have the possibility of satisfying consumers' desires. Each brand can achieve a good performance in promotion with a differentiated strategy.

Keywords

References

  1. 고은별, 최경란 (2009).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Ikd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0권 6호.
  2. 공동 취재 (2010년 6월 1일). "한시적 운영으로 흥미와 희소가치 유발 팝-업 스토어 브랜드 홍보, 고객반응 테스트에 적합." 패션채널.
  3. 김민주 (2009). 2010 트렌드 키워드. 서울: 미래의 창.
  4. 김선영 (2011). "국내의류 팝업 스토어의 운영 실태 및 체험소비자의 구매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우성, 허은정 (2007). "소비자 체험마케팅의 핵심 적 특성들과 기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6권 1호.
  6. 김준교 (2009년 10월). "패션 브랜드 마케팅."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7. 김진섭 (2009). "POP-UP STORE의 체험적 경험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네이버 국어사전, ([2010년 10월 25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100.naver.com/100.nhn?docid=733981
  9. 서은경 (2009). "중․노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패션감성, 관계체험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권 9호.
  10. 슈미트, 번트. H. (2001). 체험마케팅: Experiential Marketing. 박성연, 윤성준, 홍성태 옮김. 서울: 세종서적.
  11. 신상무, 김도훈 (2010).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권 2호.
  12. 위키 백과, (2010년 12월 26일 [2011년 2월 14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en.wikipedia.org/wiki/Pop-up_retail
  13. 유창조, 현소은, 전중욱 (1997). "매장의 특징, 매장내 감정 및 쇼핑 행위에 관한 구조적 연구." 마케팅연구 12권 2호.
  14. 이진용 (2010년 1월 18일). "소비자 욕구에 부합해야." 한경비지니스[별책부록].
  15.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년 12월 [2010년 5월 25일 검색]). "2009 소비자형태연구 MCR 연례보고 서," [온라인게시판];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kobaco.co.kr/information/studydata/studydata_research_annual_list.asp?con_year=2009
  16. 황성진, 백소라 (2009). "인터넷 공동구매시 충동구매성향과 가격, 희소성 메시지가 의류 제품에 대한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권 10호.
  17. "나이키+열정+아트=와우산 107" (2010년 8월 5일 [2010년 8월 27일 검색]). 디자인정글-미디어 [온라인잡지];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media.jungle.co.kr/cat_magazine_special/detailview.asp?pagenum=1&temptype=5&page=1&menu_idx=28&masteridx=13201&main_menu_idx=44&sub_menu_idx=65
  18. "제일모직, [구호]팝업 스토어 오픈!" (2009년 9월 30일 [2010년 8월 25일 검색]). 패션저널[온라 인잡지];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okfashion.co.kr/index.cgi?action=detail&number=8275&thread=81r09
  19. "페라리 F1팀의 열기를 서울에서 느끼다" (2010년 10월 4일[2010년 10월 15일 검색]). PUMA[온라인잡지];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puma.co.kr/motorsport/news_event/view.jsp?ai=6&seq= 15&p=0.
  20. Kendall, G. T. (2009). Fashion Brand Merchandising. New York: Fairchild Books. "Why Pop-Up Shops Are Hot," In Time Magazine[magazine online](6 November. 2009 [retrieved 15 February 2011]);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time.com/time/business/article/0,8599, 19350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