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9.16
  • Accepted : 2011.01.13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 and father's attachment and the parent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W university student 223 of Jeon-buk province. They took the parent-child relation courses. The questionnaire were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nd Parent Motiv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erceived the mother's attachment higher than the father's. Second, Parent motiv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erceived higher medium and the sex difference were no significance. Third, parent attach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 motivation. The finding from above results were that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with the content that promotion to the parent attachmen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 및 아버지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W대학교의 부모-자녀관계론을 수강하는 대학생 223명이다. 연구도구는 부모애착(IPPA)와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부모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주,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 역할 동의, 아동간호학회지, 21, 89-95, 2006
  2. 김은진,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 박병태, 부모, 또래애착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서울: 학지사, 1996.
  5. 박화윤. 최재숙. 마지순,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아동학회지, 235, 65-76, 2002.
  6. 신향숙. 장윤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년간의 의사 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95), 189-202, 2001..
  7. 양옥경, 한국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5-199, 2001.
  8.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9. 유계숙, 정현숙,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39-47, 2002.
  10. 유안진,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2003.
  11. 유안진. 신양재 대학생의 부모됨의 동기와 부모역할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4), 141-155, 1993.
  12. 윤승경, 청년기 자녀의 애착과 독립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3. 이내은,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이시은. 이재창, 대학생의 애착유형, 부모.또래애착, 그리고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47-963, 2005.
  15. 이수연,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7. 임지연, 부모에 대한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8. 장휘숙, 애착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심리학회 구두발표, 276-277, 2006.
  19. 정미라. 이희선. 배소연, 대학생들의 예비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15(1), 179-197, 1995.
  20. 정은순, 대학생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조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1. 정정숙, 자아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2. 최향미,이태섭, 안양대학교 학생들의 예비부모교육에 관한 인식조사. 인문과학연구, 7(1), 232-252, 1999.
  23. Amato, P. R., Children'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 23-38, 1993. https://doi.org/10.2307/352954
  24. Amato, P. R.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 1269-1287, 20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1269.x
  25. Calvert, B. & Stanton, W., Perception of parenthoo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15 year-old girls and boys. Adolescence, 27, 315-329, 1992..
  26. Jensen, R. B., Christensen, R., & Wilson, D. J., Predicting young women's role preference for parenting and work. Sex Roles 13, 507-514, 1985.. https://doi.org/10.1007/BF00287757
  27. Kim, J. O., & Goo, H. S.,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o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y Association, 25(1), 113-125, 2007.
  28. Main, M, Kaplan, N., & Casidy, J. 1.,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Q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L.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p.33-35).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1985.
  29. Morahan-Martin, J., Consider the children: Is parenthood being devalued? Psychological Record, 41, 303, 1991. https://doi.org/10.1007/BF03395112
  30. Sroufe, L. A., & Fleeson, J.,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In W. Hartup & Z. Rubin(Ed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51-71). Hillsdale, NJ: Erlbaum, 1986.
  31. Sroufe, L. A., Jacobvitz, D., Mangeldorf, S. DeAngelo, E., & Ward, M. J., General boundary dissolu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A relationship systems approach. Child Development, 56, 317-325, 1985. https://doi.org/10.2307/1129722
  32. White, D. & Wollet, A., Families. A Context for Development. Londen: The Farmer Pres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