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Economic Effect of life insurance and indemnity insurance Industry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interest in personal health is now growing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he insurance industr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ersonal health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surance industry can be divided into to main stream, life insurance and indemnity insurance.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life insurance industry and indemnity insurance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employ-inducing effect, sectoral price effect using Exogenous spec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demnity insuran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2.7 won,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1.6 won, employ-inducing effect of 26.9 person, sectoral price effects is 2.0%. On the other hand, life insuran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1.6 won,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1.0 won, employ-inducing effect of 16.5 person, sectoral price effects is 1.2%. Overall, indemnity inducements has higher economic impacts than life insurance.

전 세계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해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건강과 관련이 높은 보험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험산업은 크게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분석에서는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손해보험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2.7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6원, 취업유발효과는 26.9명, 물가파급효과는 2.0%로 분석되었다. 반면 생명보험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6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0원, 취업유발효과는 16.5명, 물가파급효과는 1.2%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손해보험산업이 생명보험산업의 파급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김종국, 송덕진, "생명보험산업의 국민경제 효과에 관한 연구", 보험학회지, 제80집, pp.203- 238, 2008.
  3. 남상욱, "한국 생명보험업의 경쟁도에 관한 실증연구", 보험학회지, 제85집, pp. 1-27, 2010.
  4. 이정우, 유한주, " 한국 보험산업의 서비스품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31권 제1호, pp. 42-61, 2003.
  5. 이원돈, "자동자보험은 적자산업인가?", 보험학회지, 제79권, pp. 221-245, 2008.
  6. 안경애,이해춘, "한국 생명보험 산업의 DDF 생산효율성 분석", 생산성논집. 제21권 제3호, pp.123-151, 2007.
  7. 한국은행, 2005년 산업연관표, 2008.
  8. Ghosh,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1), pp. 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9. Wu, R. H. and C. Y. Chen,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1), pp.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

Cited by

  1.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leading industry R&D for an economic region with regional input-output tables vol.13, pp.6,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6.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