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소에 대한 초등교사의 개념 - 기체변화를 중심으로 -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 of Combustion - Focus on Change of Gases -

  • 투고 : 2011.05.18
  • 심사 : 2011.09.01
  • 발행 : 2011.10.31

초록

이 연구는 연소에 대해 초등교사가 가지고 있는 개념 수준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별, 경력, 6학년 과학교과의 지도 경험, 과학 관련 학력이 고루 분포되도록 하여 12명의 초등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5개의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된 개념 검사지를 투입하여 개념 정도를 알아본 후, 좀 더 구체적으로 개념 수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개념 검사지의 내용은 '연소의 정의', '집기병으로 덮었을 때 촛불이 꺼지는 이유', '집기병 속 연소 전과 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철솜의 연소', '연소 후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교사별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을 과학적 개념(S), 부분개념(P), 오개념(M)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모든 문항에서 오개념 또는 부분개념을 가진 교사가 50% 이상이었다. 또한 6학년 과학 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 연소에 대한 과학적 개념 형성 비율이 높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를 다루는 연소 개념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화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이용해 교사 연수 또는 예비교사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교사들의 과학적 개념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combustion.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various career experiences, 6th grade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and academic backgrounds on sc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ok the concept-test formed five questions on combustion and were interviewed. The concept-test was composed with 'The definition of combustion', 'The reason that the candle was blown out when glass was closed.', 'The existenc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of before and after combustion in glass', 'Combustion of iron', 'Combustion products'. And the collected data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based on responses to the concept-test. During the analysis of the data, additional interviews by phone, e-mail and Internet messenger were conducted if necessary. The answers to each ques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Scientific-concept(S), Partial-concept(P), Misconcept(M)).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teachers had misconceptions or partial-concept of more than 50 percent of each question. Teachers who had the 6th grade science teaching experience acquired scientific concepts of the combustion more than teachers who did not have the 6th grade science teaching experience. We should develop visualization materials about the change of gases during combustion and use these materials for implementation of the scientific concept.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한솔사.
  2. 권재술, 김범기(1993). 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327-342.
  3. 권혁순(1991). 과학 수업에 의한 학생들의 개념 변화 연구: 중학교 2학년의 연소 개념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도욱(1991). 몰 개념의 학습에서 오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업모형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선주(2005). 물질에 대한 중학생의 개념 분석과 그 변화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미정, 김용권(2009). 초등학생들의 연소에 대한 개념 조사 및 과학사를 활용한 오개념 교정 프로그램 제안. 초등과학교육, 28(4), 487-475.
  7. 박규석(2003). 원소에 관한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오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26-241.
  9. 박진흥, 정진우(1999). 붉은인의 실험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기압 개념 이해.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0(4), 334-341.
  10. 엄상수(1998). 산소와 이산화탄소 단원에서 과학적 개념형성을 위한 교수 전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엄상수, 고영환, 백성혜, 박국태(2000). 산소와 연소 단원에서 과학적 개념 형성을 위한 수업 전략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19(2), 75-82.
  12.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97-107.
  13. 임청환(2003). 초등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14. 장명덕(2009). 초등 교사들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인식과 수업전략. 초등과학교육, 28(4), 425-439.
  15. 장명덕(2010). 학생들의 과학 오개념에 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이해. 초등과학교육, 29(1), 32-46.
  16. 정미숙(2003). 과학사적 관점에서 본 연소에 대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및 초등 교사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선영, 노석구(2008).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27(1), 23-30.
  18. 한문정(1990). 연소와 녹스는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De Jong, O. A., & Verdonk, A. (1995). Problems in teaching the topic of redox reactions: actions and conceptions of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2), 1097-1110.
  20. Marks, R. (1991). When should teachers lear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the AERA Annual Meeting. California.
  21. Gomez-Zwiep, S. (2008). Elementary teachers'understanding of students'science misconcep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5), 437-454. https://doi.org/10.1007/s10972-008-9102-y

피인용 문헌

  1. 초등교사의 연소 개념 향상을 위한 기체 농도 측정 실험 개발 및 적용 효과 vol.59, pp.4,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5.59.4.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