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장애인거주시설의 종사자 경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투고 : 2010.08.15
  • 심사 : 2010.11.20
  • 발행 : 2011.02.28

초록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을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중 대표적으로 인권관련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추천받은 A기관을 선정하고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의 경험,성과 및 딜레마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직차원에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해 줄 것인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권보장위원회 구성,인권규정 제정 등의 조직의 정비와 인권교육 및 인권관점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 구축이 나타났다. 개인 차원에서 종사자들은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으로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 직원 및 기관 조직문화에 서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천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딜레마로 인해 또 다른 고민과 대안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인권관련 선행연구들이 정책적, 이념적, 개념적 논쟁에 집중되어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시적 측면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인권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한 국내 최초의 기초연구로서 그 함의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facility practicing a human rights perspective was selected by recommendation of professional group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sed. In detail, i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at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respectively, and then discusses ethical dilemmas that arise from workers in the proces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According to resul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of the residential facility began from workers' interests in needs of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ome trials to apply human rights in social work practice resulted in regulation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epped up organizational culture on human rights perspectives. And, at the individual level, self determination and choice of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tressed among various forms of human rights. As the results of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t appeared to be improved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s, work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qualities of rights-based activities. However, ethical dilemmas still existed. Hence,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should understand a process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workers, which require workers to endeavor continuous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field experienc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suggested practical tasks to settle it down in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