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SST) 합성기법 개발 연구

Study on Merging Method of SSTs Using Multi-satellite Data

  • 오은경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 양찬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Oh, Eun-Kyung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Yang, Chan-Su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2011.07.21
  • 심사 : 2011.09.22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 합성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NGSST 알고리듬은 위성에 따른 정확도를 고려하지 않고 시 공간 상관도만을 계산하여 해당 픽셀의 값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센서별로 가지고 있는 정확도를 추가로 고려한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을 제안하고 기존 알고리듬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합성장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센서는 적외 센서인 MODIS, AVHRR 그리고 마이크로파 센서인 AMSR-E를 사용하였고, 2011년 4월 4일을 기준으로 5 k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일일 해수면 온도 합성장을 비교하였다. 부이와의 비교 결과, 기존 방법(NGSST Method)과 제안 방법(New Method)에 의한 표준편차는 각각 $0.15^{\circ}C$$0.12^{\circ}C$이었다. 또한 기존 방법보다 제안 방법에 의한 해수면온도 값은 연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에서 다소 높게 산출이 되었다. 현 단계에서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에 대한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roduces a technique to merge three different sea surface temperature(SST) data obtained from multi-satellite sensors. NGSST algorithm,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lated society, estimates a center pixel of target SST using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s, excluding SST accuracies according to sensing methods or properties of satellites. We suggest a merging method of SST to consider the accuracy by satellite or sensor with a comparison with NGSST method. The data used for a merged daily SST with spatial resolution of 5 km was applied from three different satellite sensors such as MODIS, AVHRR and AMSR-E from April 2 to 4, 2011 arou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Results of th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new method is higher than the NGSST method and its STDEV represents a comparatively low value. In future we are plann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sets during the daytime as well as nighttime over total cycle of the da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기상연구소(2009), 고해상도 위성산출물 생산 및 대기 환경정보 산출 기반기술 연구,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1), p. 26.
  2. Emery, W. J., S. Castro, G. A. Wich, P. Sschluessel and C. Donion(2001),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infrared satellite and in situ temperature data, Bull. Amer. Meteo. Soc., 82, pp. 2773-2785. https://doi.org/10.1175/1520-0477(2001)082<2773:ESSTFI>2.3.CO;2
  3. Guan, L. and H. Kawamura(2004), Merging satellite infrared and microwave SSTs-Methodology and evaluation of the new SST. J. Oceanogr., 60, pp.905-912. https://doi.org/10.1007/s10872-005-5782-5
  4. Kelly, K. A. and M. J. Caruso(1990), A modified objective mapping technique for scatterometer wind data. J. Geophys. Res., 95, pp. 13483-13496. https://doi.org/10.1029/JC095iC08p13483
  5. Le Traon, P. Y., F. Nadal and N. Ducet(1998), An improved mapping method of multisatellite altimeter data. J. Atmos. Oceanic. Technol., 15, pp. 522-534. https://doi.org/10.1175/1520-0426(1998)015<0522:AIMMOM>2.0.CO;2
  6. Lee, Y. H. and M. H. Ahn(2001), The impact of high resolution SST on the performance of temperature prediction in a shortage prediction, J. Kor. Meteo. Soc., 37, pp. 607-619.
  7. Sakaida, F., H. Kawamura, S. Takahashi, T. Shimada, Y. Kawai, K. Hosoda, and L. Guan(2009),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NewGene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for Open Ocean(NGSST-O) product and its demonstration operation. J. Oceanogr., 65, pp. 859−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