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Confrontation in Gwangju City

광주광역시의 보호수와 기후변화 취약성 및 대응

  • Received : 2011.07.13
  • Accepted : 2011.08.03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legally protected trees distributed in Gwangju City is 68 individuals belong to 9 taxa. Among the legally protected trees recorded in environment white paper, Quercus dentata located in Gwangsan-gu Eunnam-dong Shinga village must come to correct Quercus liena, Populus nigra var. italica of Byeokjin village of Seo-gu Byeokjin-dong change to Salix glandulosa and Pinus densiflora of Sukjung-dong, Nam-gu should be alter into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PCC make an estimate the mean temperature multiplies best $6.4^{\circ}C$ and sea level of 59 cm rises and is warning that the North-Pole glacier may have melted mostly and 95% of bio-species on earth may falls at extinction crisis on the late 21th century. If apply IPCC estimate result to evaluat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rough the legally protected trees of Gwangju City, it should be estimated that mean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of Gwangju City in the late 21th century result in higher than $3^{\circ}C$ as mean minimum temperature, January in Cheju Island at present. Therefore, it is estimate that the legally protected trees of Cheju Island such as Pinus thunbergii, Celtis sinensis, Aphananthe aspera and a evergreen broadleaf trees will grow up well in Gwangju City area in the late 21th century. The other hand,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and zelkova serrata as the legally protected trees that appear together in Seoul and Gwangju will be estimate by something to expose show vulnerability in region of Gwangju City.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9분류군 68개체다. 환경백서에 기록된 보호수 가운데 광산구 운남동 신가마을의 떡갈나무는 갈참나무로, 서구 벽진동 벽진마을의 양버들은 왕버들로, 남구 석정동의 소나무는 반송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IPCC는 21세기말에 평균기온은 최고 $6.4^{\circ}C$ 및 해수면은 59 cm 상승하므로 북극빙하는 완전히 녹아 없어지고 지구상의 생물종 95%가 멸종위기에 빠질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보호수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IPCC 예측 결과를 적용해 보면 21세기말 광주광역시 최한월 1월 최저기온은 현재 제주도 최한월 평균최저기온인 $3^{\circ}C$보다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21세기 말 광주광역시 지역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호수인 곰솔, 팽나무, 푸조나무 그리고 상록성활엽수가 잘 자랄 것으로 판단되지만 서울과 광주에서 함께 나타나는 보호수인 반송과 느티나무는 취약성을 드러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6:444-457.
  2. 광주광역시. 2006. 2006 환경백서. 광주광역시. 736pp.
  3. 광주광역시. 2007. 2007 통계연보. 광주광역시. 703pp.
  4. 권원태. 2003. 한반도 기후 100년 변화와 미래전망. 기상청기후변화 뉴스레터. 2:1-8.
  5. 기상청. 2010. http://www.kma.go.kr/
  6. 이병윤. 2005.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생태계의 이동. 자연보존. 130:18-27.
  7.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p.46.
  8. 이창석, 김학윤, 임종환, 공우석, 윤원태, 배상근, 조현제, 이정택, 조광우, 신호성, 김해동, 한기주. 2011. 기후변화학 -원인, 영향 그리고 해결-. 라이프사이언스. pp.85-99.
  9. 임종환, 신준환. 2005. 지구온난화에 따른 산림식생대 이동 과 식물계절 변화. 자연보존. 130:8-17.
  10. 장은재, 김종원. 2007. 노거수 생태와 문화. 월드사이언스. 365pp.
  11. 전남대학교박물관, 광주광역시. 2004. 문화유적분포지도 (광주광역시 1 : 10,000). 전남대학교박물관. 406pp.
  12. 정연숙. 2011. 기후변화와 산림생태. pp.387-401. In 기후변화 교과서(최재천, 최용상 역음). 도요새.
  13. 정용승. 2011. 한반도의 기후환경과 변화. pp.43-56. In 기후변화 교과서(최재천, 최용상 역음). 도요새.
  14. 허인혜, 권원태, 전영문, 이승호. 2006.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15:67-78.
  15. 환경부. 2008. 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 환경부. 68pp.
  16.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0. 제1회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전문가 포럼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연구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131pp.
  17. Davis, MB and C Zabinski. 1992. Changes in geographical range resulting from greenhouse warming effects on biodiversity in forests. pp.298-308. In Global warming and biological diversity (Peters RL and TL Lovejoy ed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18. IPCC, 2007: Summary for Policymakers. pp.7-22. In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arry ML, OF Canziani, JP Palutikof, PJ van der Linden and CE Hanson,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9. Parmesan C. 2006.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Evolutionary Systematics 37:637-669.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37.091305.110100
  20. Parmesan C and G Yohe. 2003.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s. Nature 421:37-42. https://doi.org/10.1038/nature0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