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dministration Model for Causes of Delay in Construction Projects to Decide Time Extension Responsibility

건설공사 공기연장 책임구분을 위한 지연사유 관리 모델

  • Received : 2011.05.13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Since the cases of time extension have continuously transpired in the public construction project, the potential of economical loss and claims is increasing because the concerned parties such as an owner or a contractor have not properly performed their own responsibility for time extension. One of the main reasons is that the present planning and scheduling do not support the method to apportion the proper responsibility to the right party. This problem has repeatedly led to time extension and made it difficult for the concerned parties to perform the responsibility for time extens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framework of delay administration is required as the method to apportion the proper responsibility to the right party.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aimed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and prototype system as the practical method to administrate delay causation. Furthermore, the verification result for th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throughout the case studies on real construction projects shows that the conceptual model and prototype system developed would help efficiently to administrate the delay causation.

최근 공공공사에서 공기지연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책임 미 이행으로 인하여 당사자의 손해 발생은 물론 클레임 및 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현행 공정관리가 책임구분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공기지연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며, 당사자의 책임이행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지연의 반복적 발생을 예방하고 공기지연에 대한 당사자의 능동적 책임이행을 위하여 책임구분이 가능한 공기지연관리 방안의 마련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연사유에 대한 사전적 관리 개념을 도입한 공기지연 사유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델은 첫째, Cell 개념의 사유 세분화 및 계층화를 통한 사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였으며, 둘째, 발주자, 시공자, 제3자로 업무 수행 절차를 구분함으로써 지연사유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Matching 시스템을 통한 사유, 일수 및 해당근거를 연계함으로써 클레임에 대한 명확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민 외 1인 (2004). "생산성을 고려한 공기지연 분석 방법",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0권 제4호, pp. 153-160
  2. 김영재외3인(1999)."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5권 제7호, pp. 117-127
  3. 모용운 외 2인 (2002)." 국내 공공건설공사 공기지연 분석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2 호, pp. 131-138
  4. 이재섭 (2005). "계약당사자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공기지연의 해석방법",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 21권 제8호, pp. 165-172
  5. 이정호외3인(2002)." 웹기반의 공기지연클레임 분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 18권 제12호, pp. 133-142
  6. 한종관외2인(2003)."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3호, pp. 163-170
  7. M. Asem U. Abdul-Malak (2002). "Process Model for Administrating Construction Claim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8. Jonathan Jingsheng Shi. (2001). "Process Model for Administrating Construction Claim",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9. Kartam, S. (1999). "Generic Methodology for Analyzing Delay Claim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0. Kelleher T.H. (2005)." Common Sence Construction Law", 3rd, Ed., John Wiley & Sons, Inc.
  11. Sai On Cheung(2006). "Are Construction Disputes Inevitable?",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12. Schumacher, l.(1995). "Quantifying and Apportioning Delay on Construction Projects", Cost Engineering

Cited by

  1. Developing a construction duration estimation model to ensure the safety i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sites 2018, https://doi.org/10.1007/s12205-017-0605-y
  2. Design Structure Matrix: A Model Proposal and Implementation on Harbor and Building Design Project vol.14, pp.1,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