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pital City, Chang'an's(長安), Water System

수당(隋唐) 장안성(長安城)의 도성 형식과 수체계에 관한 연구

  •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Received : 2011.07.25
  • Accepted : 2011.09.2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research described in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elemen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hang'an, how its water system reinforced its status as the capital city, and what role it took for its urban function based on studies of the canal constructions. During the period of Sui and Tang, Chang'an built a sophisticated water system using Qu(渠), the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water system, hills are called Yuan(原), and rivers with the proper environment to be developed plan into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irrigation water, urban living water, the composition of garden-based facility, reservoirs, and others. They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consequently, increase the city's competitivenes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urban infrastructure, serving as a convenient source and ensuring the quality of life was abundant. So, the urban effects of the water system have raised the capital's status. With the contribution of its pragmatic water system, Chang'an not only performed its urban function brilliantly, but also established itself more firmly as a capital city.

수당의 장안성이 전근대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왕도로서의 권위를 확보한 전통적 이데올로기가 공간에 이상적으로 체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안성의 형성과 도성 형식에 자연환경요소가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살피고, 수로 조성에 대한 제반 고찰을 통해 장안성의 수체계가 도성의 위상 형성과 도시의 기능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알고자 하였다. 수당 양대(兩代)를 거치면서, 장안성 일대는 '거(渠)'라는 수리시설을 통한 정교한 수체계가 구축되었다. 이 수리시설은 원(原)과 하천이 발달한 주변 환경을 적절히 이용한 것으로, 주로 관개용수, 도시생활용수, 원림조성의 기반시설, 저류시설 등의 도시 시설로 세분화하여 계획되었다. 이들은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장안성의 도시 경쟁력에 일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기반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편리하고 윤택한 삶의 질을 보장하였다. 또,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경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수체계의 이러한 도시적 효과는 곧 도성의 위상 제고로 이어졌다. 장안성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수체계 구축을 통해 도시적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수도로서의 위상을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평가받을 만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섭(2010) 唐代 長安文化의 한 형태-曲江文化를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112:47-85.
  2. 류재헌(1999) 중국 역사 지리. 서울: 문학과지성사.
  3. 박한제(1990) 북위 낙양사회와 호한체제-도시구획과 주민분포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6:111-177.
  4. 박희성(2011) 원림. 경계없는 자연. 서울: 서울대출판문화원.
  5. 임대희, 신태갑 역(2008) 중국도시사, 沈福煦. 서울: 서경문화사.
  6. 최재영 역(2006)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妹尾達彦. 서울: 황금가지.
  7. 최재영(2010a) 수당 장안의 도성구조와 치안정책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최재영(2010b) 중국 전근대 도성 구조와 도성변화-수당 장안성을 중 심으로. 역사학보 207:381-403.
  9. 황기원(2011) 경관의 해석. 서울: 서울대출판문화원.
  10. 隋書.
  11. 酈道元 撰 水經注.
  12. 宋敏求撰 長安志.
  13. 浙右張.禮武中 撰 類編長安志.
  14. 程大昌 撰 翁錄.
  15. 周禮.考工記.
  16. 賈俊霞․ 闞輝平(1994) 隋唐長安城的水理布局. 唐都學刊 38:6-11.
  17. 谭徐明(1998) 中華文化通志 第七典-交通與水利.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8. 文物出版社編(2001) 中國歷代年代簡表. 北京: 文物出版社.
  19. 史念海(1997) 唐長安城外龍首原上及其隣近的小原. 中國歷史地理論叢 2:15-32.
  20. 史念海(1999) 龍首原和隋唐長安城. 中國歷史地理論叢 4: 1-20.
  21. 西安晩報(2010.05.23) 龍首原. 五十多位群王雄居之地.
  22. 沈福煦(2001) 中國古代建築文化史.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3. 溫亞斌(2005) 隋唐長安城八水五渠的水系硏究. 西安建築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4. 李斌城(2002) 唐代文化.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5. 李令福(2004) 關中水利開發與環境. 北京: 人民出版社.
  26. 李令福(2005) 論淤灌是中國農田水利發展史上的第一個重要階段. 中國經 濟史論壇. www.guoxue.com
  27. 張家驥(1991) 中國造園論. 山西省: 山西人民出版社.
  28. 諸橋轍次(1986) 大漢和辭典 卷七. 東京: 大修館書店.
  29. 佟裕哲(1998) 陝西古代景園建築. 西安: 陝西科學技術出版社.
  30. 佟裕哲(2001) 中國景園建築圖解.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31. 賀業鉅(1986) 考工記營國制度硏究.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