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ies of Amendment a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ork Classification

조경공사 표준품셈 공종 개정에 관한 연구

  • Yun, Ju-Che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 Lee, Kwan-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1.09.26
  • Accepted : 2011.10.25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consist of a standard and universal work classification. However, these constructional methods have created a number of problems in utilizing and responding on a variety of recently-developed working methods such as new constructional skills and technologies. This research decided that presenting the amendments of work classification of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very important, and investigated those work classifications which required these new amendments. First of all,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a preliminary survey. Then, these assessment items were surveyed to the total of 60 professional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highest in the area of work classification of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Second, the work classifications that needed to be added were recognized as leveling the ground construction, landscape structure construction, paving construction, water facilities construction, and outdoor facilities construction. Third, in the field of the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66.7%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some amendments were necessary, and those amendments needed work classifications were identified as work classification of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was gigantic plant, topiary tree, temporary planting, exchange dead tree, etc. In the area of digging out was gigantic plant and plastic tree were recognized. The survey respondents also answered that, in keeping and management work classifications some amendments in pruning waste were necessary, and in the fields of rubble masonry work classifications some improvements were required in rubble aperture planting unit manpower and material and sodding and herbaceous sowing was a realistic lawn size unit manpower and material wa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explain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amendments for a standard unit man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re necessary, especially in the areas of planting size and quality of work classifications unit manpower and material and in the unit manpower and material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ands caping constructions.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공종과 공법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조경분야는 건설기술의 발전과 공사품질의 고급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행 조경공사 표준품셈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우선 개정들이 필요한 품셈 공종을 파악하였다. 개정이 필요한 공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예비설문조사를 통하여 설문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항목들은 조경 분야 전문가 60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공사 표준품셈에 대한 활용도는 식재공종의 품셈이 가장 높았다. 둘째, 신규로 추가될 필요가 있는 공종으로는 정지공사, 조경 구조물공사, 포장공사, 수경시설공사, 옥외 시설물공사들로 파악되었다. 셋째, 조경공사 품셈공종 분야에서는 설문응답자들의 66.7%가 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개정이 필요한 품셈 공종으로는 식재 공종에서는 대형수목, 조형수목, 수목가식, 수목하자 등으로 파악되었다. 굴취공종에서는 대형수목, 조형수목 등으로 파악되었다. 유지관리공종에서는 전정폐기물 처리 품셈, 정원석 쌓기 및 놓기 공종에서는 돌틈 식재 품셈, 떼붙임 및 초류파종 공종에서는 현실적인 잔디규격의 품셈을 필요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조경 식물의 규격과 조경공사 품질에 대한 공종별 세부 품셈과 조경공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품셈분야의 개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철, 유인규(1996) 공원산책로 개설품에 관한 기초연구. 국립진주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제3호.pp.180-18
  2. 강태호(2008) 조경 적산학. 도서출판 국제.
  3.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대한건설협회(2009). 2009년 주요 건설통계
  5. 대한건설협회 조경위원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시설물설치공 사업협의회, (사)한국조경사회(2010). 조경공사 적산기준. 파주: 도서출판 조경.
  6. 박원규(2006) 조경공사 적산기준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조경시공 21:91-92
  7. 박원규(2008) 조경적산. 파주: 도서출판 조경.
  8. 손재철(2007) 표준품셈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 공학과 석사학위논문.
  9. 박종현, 박배호(1993) 표준품셈 실사를 위한 작업분석 기법 응용에 관한 연구. 건설논총.6(1):15-30
  10. 손창구, 김귀곤, 윤근영, 강태호, 김익수(1990) 조경 식재 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23-37.
  11. 윤근영(1990) 조경 수목 식재공사 품의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2. 윤무희(2001). 실적공사비 적산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윤주철(2010)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 요인 분석.대구대학교 대학원 원예․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14. 이관희, 윤주철(2009)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 특 성. 한국조경학회지 37(1):131-138.
  15. 이재근(1988) 조경공사 표준품셈 개정에 관한 고찰.한국조경학회 88추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5-1
  16.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우섭(2006) 조경공사 관리 및 적산.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8.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건설공사 표준품셈.
  20. (재)환경조경발전재단(2008) 한국조경의 도입과 발전 그리고 비전.
  21. 土木工事標準步掛(2010) 國土交通部. 日本國.
  22. www.kcnet.or.kr
  23. www.kicttep.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