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Types of Green Landscapes in a Suburban City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 손용훈 (치바대학교 조경학과) ;
  • 윤문영 (치바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on, Y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iba University) ;
  • Yoon, Moon-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Horticulture Chiba University)
  • 투고 : 2011.08.12
  • 심사 : 2011.10.24
  • 발행 : 2011.10.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근교도시의 녹지경관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근교도시 녹지경관의 보전계획 및 활용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일본의 수도 도쿄의 근교도시인 마츠도시이다. 먼저 공간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해 대상지의 녹지경관을 유형화하고, 다음으로 녹지경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녹지경관 평가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츠도시에는 도시계획, 자연지형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녹지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며, 주된 녹지경관은 20개의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녹지경관 유형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시가화조정구역의 하천, 공원 등이 개성 있는 경관으로 높게 평가된 반면, 주거구역의 농지 및 수림지 등은 낮게 평가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경관평가의 척도를 분석한 결과 3가지 성분이 추출되었으며, 각 성분은 명료성, 친밀성, 지역성이다. 도시 농지와 수림지는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특징 중 하나이며, 도시이미지 중 친밀성, 지역성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근교도시에 있어서 녹지계획과 녹지경관 관리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landscapes in suburban cities and identify methods for managing them. The study site is Matsudo city in the outskirts of Tokyo, Japan. All the greenery in Matsudo was categorized into different landscape patterns using spatial analysis and field surveys. Afterwards, assessments of green landscape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s and factor analyses. There are a variety of green landscapes in Matsudo, formed by a number of different reasons such as urban planning, topographical characters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Twenty different green landscape patterns were identified in Matsudo. The survey concluded that green landscape patterns of parks and rivers in Urbanization Control Areas are more attractive than patterns of farmland or forest in residential areas. Three major factors influenced perceptions: legibility, intimacy and the locality on the landscape assessment. Urban farmland and urban forest are two characteristics of suburban cities, and these green landscapes relate to intimacy or localities in a regional imag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a green master plan and green landscape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충희, 김동찬(2010) 농촌경관의 시각 정체성에 대한 연구-도시와 농촌 거주자 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6(4):23-32
  2. 박문호(2008) 도시공원녹지계획(이명우 편 "조경계획2). 서울: 기문당. pp.14-62.
  3. 안동만, 손주동, 김명수(2005) 농촌경관의 농촌다움과 선호도 평가 연구-내국인과 외국인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1(3):44-52
  4. 양병이(1992) 시들어가는 도시녹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11(1):1.
  5. Corner, J.(2006) Terra Fluxus. In Waldheim, C. eds., The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21-33.
  6. Forman, R. and M. Gordon(1986) Landscape Ecology. NY: JohnWiley & Sons,Inc
  7. Weller, R.(2008) Landscape(Sub)Urbanism in theory and practice. Landscape Journal 27(2):247-267 https://doi.org/10.3368/lj.27.2.247
  8. 綛谷珠美, 奥村憲, 吉田祥子, 高山範正, 香川隆英(2007) 様々な里山景観 での散策による生理的․心理的効果の差異.ランドスケープ研究 70(5):569-574.
  9. 金永河, 金子忠一, 熊谷洋一(2009) 釜山市における斜面地の緑地が居住 地選択に与える影響に関する研究.ランドスケープ研究 72(5):859-862
  10. 中島敏博, 古谷勝則(2004) 千葉県北総地域の残存緑地に対して里山活 動参加者が期待する里山イメージに関する研究.ランドスケープ研究 67(5):653-658.
  11. 村川三郎, 西名大作, 安野淳(1998) 住民による地域の伝統的みどり景観 の評価構造に関する研究.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509:77-84
  12. 沈悦(2008) 兵庫県北淡路地域における棚田景観の視覚特性について. ランドスケープ研究 71(5):701-704.
  13. 佐藤拓也, 柳井重人, 木下勇(2007) 都市とその近郊における緑地の 環境保全機能の定量化手法とそれに基づく土地利用規制の評価. 環境情 報科学論文集 21:429-434.
  14. 岡田穣, 小林明裕, 浅川昭一郎,内海志泉, 本多和成(2005) 北海道美瑛 町を事例とした土地利用と農村景観評価との関わりについて. ランドスケープ研究 68(5):757-762
  15. 松戸市(1999) 松戸の都市計画.
  16. 松戸市(2009a) 松戸市緑の基本計画改定版.
  17. 松戸市(2009b) 松戸市景観基本計画.
  18. 進士五十八(2010) グリーンエコライフ-農とつながる緑地生活.東京: 小学館.
  19. 武内和彦, 恒川 篤史, 鷲谷いづみ(2001) 里山の環境学. 東京: 東京大 学出版会.
  20. 田代順孝(1998) 緑のパッチワーク-緑域計画のための「9+1」. 東京: 技術書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