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Award

대한민국조경대상의 정체성 해석

  • Hong, Youn-S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the identity of the landscape architectural award, which is the highest authority award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between the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ublic sector, which deals with infrastructure is significantly requested nowadays. The identity characteristic of a detailed concept which configures the sameness in the shape of inner self-cognition and individuality as external and correlative cognition are utiliz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Award holds an internal value as the only award in landscape architecture that is granted municipalities and public agencies. However, when it is compared with several correlated award systems, the vulnerable sides such as short origin and partly limping in terms of sustainability, the possibilities of losing the interest in the public sector due to management's reform program and insufficient participants and responses regarding social authority have been fou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day's paradigm tha taims for green cities, the aspect that shares the large portion with the values set by detailed categories of city planning that enforces metropolis awards is also in the spotlight. Hence, the landscape architectural award should construct specializa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by strengthening the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city award in the field of city planning. In other words, the Ministry of Land, not limited to the systematic cooperation with various administrative areas will be strengthened and it will communicate with the aspect that reinforces characters as an academic and practical area that covers various districts and disciplines. Thus, the identit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andscape architectural award's competitive reinforcement as a detailed characteristic variously combined, and it requires huge interest and discussions regarding internal and external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nd the democratic public discussion process.

본 연구는 도시의 기반환경을 다루는 조경분야와 공공영역 간 협력체계의 구축이 크게 요청되는 오늘날, 조경계의 최고권위 시상제도인 조경대상의 정체성을 고찰한 내용이다. 연구방법론으로 내적 자기인식으로서의 동일성과 외적 상관적 인식으로서의 개별성으로 구성되는 정체성의 세부특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대상은 지자체와 공공기관을 시상하는 조경분야의 유일한 상으로서의 내적 가치를 보유한다. 그러나 관련되는 여러 시상제도와 비교할 때 지속성 측면에서의 짧은 연원과 부분적으로 파행을 겪은 점, 제도운용방식의 개편으로 공공영역에 대한 관심이 반감될 가능성이 야기되고 있는 점, 사회적 권위와 부합되는 정도의 참여와 호응도를 형성하지 못하는 점의 취약한 측면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오늘날 녹색도시를 지향하는 패러다임에 의해 도시계획분야가 시행하고 있는 도시대상의 세부분야가 상정하고 있는 가치들과 상당부분 중복되는 측면 역시 노정된다. 이에 조경대상은 도시계획분야의 도시대상과 비교한 수월성을 더욱 강화하면서 특화와 발전전략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국토해양부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행정영역과의 공조체계의 강화가 바로 그것으로, 이는 다양한 영역과 분야를 포괄하는 학문과 실무분야로서의 성격을 더욱 공고히 하는 측면과도 상통될 것이다. 이렇듯 다양하게 복합되어 있는 세부특성으로서의 정체성은 조경대상의 경쟁력 강화방안과 직결되는 것으로, 조경분야 내 외부의 폭넓은 관심과 논의, 그리고 민주적인 공론화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사)한국조경사회(2010.10.26) 제1회 녹색공간대상 공모전 개최 안내.
  2. (사)한국조경학회(2001.7) 제1회 조경대상 자료집(시행방안/평가내용/평가지표).
  3. (사)한국조경학회(2008.10.20) 제 5회 조경의 날 기념식 및 제 4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 팜프렛 자료.
  4. (사)한국조경학회(2010) 조경사업백서 2009-2010.
  5. (사)한국조경학회(2010.10.18) 2010 제5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 경과보고 자료.
  6. (사)한국조경학회(2010.10.18) 제 7회 조경의 날 기념식 및 제 5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 팜프렛 자료.
  7. (사)환경계획조성협회(2010) 환경계획조성협회 10주년 기념집.
  8. (사)환경계획조성협회(2011) 자연환경대상 공모전 응모요령.
  9. (재)경기녹지재단(2006.4) 아름다운 정원대상 심사기준연구 최종보고서
  10. 계기석, 강신겸, 김규원, 김보성, 문원식, 진영효(2001) 도시정체성과 도시발전.도시정보 229:3-1
  11. 오정학, 고동완, 김유일(1999) 도시공원의 지역적 정체성 평가와 유용성-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1):79-89.
  12. 정경원(2003) 디자인경영. 안그라픽스.
  13. 한성미, 임승빈, 엄붕훈(2009) 서래마을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프랑스주민과 방문자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4):32-41
  14. 홍성권, 이민우, 이상민, 안명준(2007) 도시공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입시설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5):29-36.
  15. 홍윤순(2009.12)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 보행자전용구역의 환경특성: 수경 및 포장에 의한 역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2):64-74
  16. 홍형순, 장태현(1998) 도시경관 정체성 파악을 위한 역사적 도시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52-65
  17. 황기원(1995) 도시의 정체성과 쾌적성.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회복과 조경의 과제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사)한국조경학회. pp.1-13.
  18. 황기원(2009) 도시락 맛보기. 서울: 다빈치.
  19. Prohansky, H. M., A. K. Fabian and R. Kaminoff(1983) Placeidentity: Physical world socialization of self.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57-83.
  20.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td. p.45.
  21.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20j0631a.
  22. http://melodies.tistory.com/77.
  23. http://www.city.go.kr/jsp/cmsView/board.jsp?bf=0&board_code= 100000000381&seq=23224&boardCmd=view&menuCode=101010031 005&c_board_code=100000000326&cBoardCmd=cview&cSeq=10 00.
  24. http://www.city.go.kr/jsp/cmsView/board.jsp?menuCode=10101003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