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 이우성 (텍사스 A&M 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1.09.29
  • Accepted : 2011.10.17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Many studies which assessed the function of forest are focused on usage of citizen, but studies which focused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still lack.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of forest as a base research for sustainable planing and management. First, the 35 indicators were selected by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56 literature. The 12 indicators among those were reselected as natural-ecological indicator by the first survey and 7 indicators such as green area, connectivity etc. were determined through MCB analysis by the second survey. Also, the weights of 7 indicator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computed using AHP analysis by the third survey. As aresult of AHP analysis, the naturality was showed the highest indicator by 0.189, while the NDVI was evaluated the lowest indicator by 0.063.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 on forest in Daegu which was selected as suitable study area,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s around the Mt. Ap and Mt. Chengryong, top of Mt. Biseul had more than 85 scores, so those were assessed as an excelle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around the western area of Mt. Waryong and Mt. Macheon, the Mt. Daeni of Dalseong-Gun had less than 50 scores, which means that the area had to be controled by sustainable management.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t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산림녹지의 기능평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도시민의 이용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으며, 자연생태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인 기능을 평가한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녹지에 대한 지속적인 계획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산림녹지의 자연생태적 기능에 대한 평가 지표 선정 및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국 내외 56개 문헌 조사를 통해 최초 35개 지표를 선정되었고, 1차 설문에 의해 12개의 자연생태적 지표가 선택되었으며, 2차 설문에 따른 MCB분석에 의해 녹지면적, 녹지연결성 등 7개 지표가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3차 설문에 따른 AHP분석에 의해 7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능 평가를 기초 작업을 완료하였다. AHP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성 항목이 0.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식생활력도가 0.063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사례지 적용을 위해 대구광역시를 대상지로 설정하여 산림녹지에 대한 자연생태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앞산과 청룡산, 비슬산의 정상부를 따라 85점 이상의 높은 점수가 나타나 자연생태적 기능이 우수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와룡산과 마천산의 서쪽지역, 달성군의 대니산 일대지역에서 50점미만의 낮은 점수가 나타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평가 지표 및 결과들은 향후 도시계획, 환경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희, 김성일(2010)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 지표 개발. 한국임학회지 99(6):777-784.
  2.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0-21
  3. 김경하, 이천용, 이원규(1992)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 는 영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4:75-86.
  4. 김명수(2002)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경관 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인, 여홍구(2009)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 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2):71-84
  6. 김영표(2008)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47-54
  7. 김정호(2007)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 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0(3):38-51
  8.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1-11
  9. 노태환(2009)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대구광역시(2009)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11. 박경훈, 정성관(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 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35-4
  12. 박창석, 오규식, 이영숙, 김재호, 이동우, 김기돈(2007) 도시생태네트워 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3. 박희권(2010) 대전광역시 도시림 산림식생 분류와 환경요인의 상관관 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변병설, 이병준(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 정책.평가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15.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산림청(2000)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
  17. 서수현, 유리화, 이계한, 안기완(2006) GIS적용에 의한 산림기능평가: 전남대학교 장성연습림을 대상으로. 산림경제연구 14(2):45-54.
  18. 유주한(2005)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 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윈논문.
  19. 이경학(1995) 산림기능잠재력평가 및 분류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124-137.
  20. 이동윤(2007)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추적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우성(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 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원열, 주진순, 김사일, 김성일(1991)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3:71-80
  23. 이종용, 이희연(2005)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 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0(1):27-46
  24. 장갑수(2007) 최근린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 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5):56-63
  25. 조현주(2007 )경관생태계획 모형 및 적용기준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영관, 손영모, 이광수, 강진택, 정수영(1996) GIS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 개발. 산림경제연구 4(2):15-28
  27. 최경, 김태훈(1982) 산사태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29:1-3
  28. 한수진, 이우균, 곽두안(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13-19.
  29. 환경부(2002)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30. 환경부(2004)도시 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연구
  31. Bazzaz, F. A.(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10:351-371 https://doi.org/10.1146/annurev.es.10.110179.002031
  32. Forman, R. T. T.and M.Godron(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3. Fuhrer, E.(2000) Forest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2:29-3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377-7
  34. Gallo, K. P., A. L. McNAB, T. R. Karl, J. F. Brown, J. J. Hood, and J. D. Tarpley(1993) Theuse of avegetation index for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2223-2230 https://doi.org/10.1080/01431169308954031
  35. Howard, T. E.(1999) Japan's green resource:Forest conservation and social values. Agriculture and Human Values 16:421-430 https://doi.org/10.1023/A:1007647600563
  36. Kuehl, R. O.(2000) Design of Experiments: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Sesign and Analysis. CA: Duxbury/Thomson Learning, PacificGrove
  37. Landsberg, H. E.(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Academic Pres
  38. Millette, T. L., D. S. James, and K. H. James(1997) Evaluating forestland uses: A GIS based model. Journal of Forestry 95(9):27-32.
  39. Richard, D. (2001) FELSA-Tools Arc 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vers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
  40. Riess, W.(1986)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 10:102-115.
  41.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