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SI)의 적용- 광주지역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ESI) on Local Community Base Program for Solitary Senior Citizen

  • 김정미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웅식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장지연 (광주여자대학교 작업과학연구소)
  • Kim, Jung-M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 Park, Woong-S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 Jang, Ji-Yeon (Institute of Occupational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1.12.03
  • 심사 : 2011.12.24
  • 발행 : 2011.12.30

초록

목적 : 광주 지역의 독거노인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프로그램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 ESI)의 유용성 뿐 아니라 작업치료 중재 측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독거여성으로 치매예방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 참석한 대상자 중 본인이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대상자 6명을 모집하여 연구하였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은 이론적인 체계를 제공하였다. ESI로 사전 검사를 하였고, 5주간의 수공예와 원예 작업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사후검사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참여자의 사회기술 수행에 관련하여 치료사의 작업적 중재의 효과성을 ESI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집단의 사전, 사후의 ESI 로짓(logit)점수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t=-7.362, p=0.001).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일상의 작업을 하는 동안 사회기술 수행과 관련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ESI의 유용성을 제시한 첫 번째 연구이다. 앞으로 OTIPM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배경 안에서 작업치료를 계획하고 효율성에서 ESI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Study purpose is to inspect not only the utility of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ESI) but also the efficiency of occupational therapy measurement in program based local community of solitary senior citizen in G region. Methods : Six solitary senior citizen in G region were participating in a community-based program were a convenience sample for this study. Th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OTIPM)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ESI provided a pre-test performance measure and also served as a guide for an five-week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and as a post-test to measure intervention effectiveness. Result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I was effective in guiding therapist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skill performance of participant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a community-based program. As a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SI logit measures was also significant(t=-7.362, p=0.001). Conclusion : The study provides initial considerations for the utility of the ESI to guide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skill performance during daily occupations in Korea. It further docu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ESI in measur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OTIPM, and supports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provided in a community based program context for those solitary senior citiz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