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Learning Style of Students on Web based Blended Learning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웹 기반 혼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송주영 (울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0.11.29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 on blended learning. Subjects were 102 college students(grade 1,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who enrolled in 'neuroanatomy' course. Blended learning was composed of 13 weeks-3 hour/1week in offline and 16 chapters-24 lessons in online. According to Kolb's learning style, assimilator was the most comm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arning style but, they were most preferred blended learning(92.1% of subjects), improved participation and excitation in learning(each 55.5%, 58.8% of subjects), and blended learning was helpful in learning(85.1% of subjects). In student's satisfac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rning style.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satisfaction between assimilator(80.7%) and accommodator(67.5%).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혼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도와 2009년도에 혼합교육으로 진행된 신경해부학을 이수한 물리치료과 1학년생 102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혼합교육은 13주 동안 주당 3시간의 강의실 수업과 16강 24강좌로 구성된 온라인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결과 융합자가 가장 많았다. 학습양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혼합교육을 가장 선호하고(학습자의 92.1%), 혼합교육에 의해 학습참여도(학습자의 55.5%)와 흥미도(학습자의 58.8%)가 향상되었으며, 혼합교육이 학습에 도움이 된 것으로(학습자의 85.1%) 나타났다. 강의만족도에 있어서는 학습양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융합자의 만족도가 80.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적응자의 만족도인 67.5%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정훈,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4호, pp.49-76, 2007.
  2. 최성훈, “대학교 교양 테니스 강의에서 웹보조 강의(LMS)의 효과크기 분석”, 체육과학연구, 제18원 제3호, pp.100-114, 2007.
  3. 권오영, “효율적인 혼합형 학습 운영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2권, 제1호, pp.52-57, 2010.
  4. 김경옥,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탐구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5.
  5. 김미영, “대학교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e-러닝 학습전략”, 컴퓨터교육학회논문, 제10권, 제4호, pp.93-102, 2007.
  6. 김지희, 문태영, 박정현, “건강-의료계통 관련 전공자를 위한 해부학교육에서 blended learning의 적용 및 효과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3(B), pp.1431-1447, 2008.
  7. 강영환,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학습자 특성, 전달전략, 교수자 특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8. 곽소아,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병철, 류근호,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5권, 제2호, pp.53-60, 2005.
  10. 노석준, “웹기반 원격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대학생 원격학습자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1호, pp.99-130, 2007.
  11.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9권, 제4호, pp.229-267, 2003.
  12.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9권, 제3호, pp.41-68, 2003.
  13. 이종연,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및 사전지식과 전달전략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3호, pp.3-25, 2002.
  14. 김미영, 최완식, “공과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능력 및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와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31권, 제1호, pp.110-128, 2006.
  15. 안광식, e-Learning에서 학습양식 측정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6. R. J. Sternberg, and L. F. Zhang, Perspectives on Thinking, Learning, and Cognitive styl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1
  17. 민경일, “학습양식의 차이가 협동학습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연구, 제17권, 제1호, pp.265-300, 1999.
  18. V. V. Busto, F. J. Prins, J. J. Elshout, and C. Hamaker,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Higher Educ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pp.129-140, 1999.
  19. K. Mantyla, “Blended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ASTD, 2001
  20.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2005.
  21. 박다정, 이재경, “블로그를 활용한 토론 학습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및 학습 전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7-12, 2009.
  22. 윤승금, U-Learning 전화기에서의 멀티미디어 기기 활용 및 선호 학습방법 추이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23. 박은숙, “블랜디드러닝 학습모형 개발 : R2D2와 학습양식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4호, pp.85-110, 2008.
  24. 배현기, “E-러닝과 학교교육의 변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제2권, 제3호, pp.10-13, 2005.
  25. I. Jung, and K. Suzuki, Blended Learning in Japan and its Appli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C. J. Bonk, & C. R. Graham,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267-280, CA: Pfeiffer, 2006.
  26. 구양미,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적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 실존적, 사회적 자기 주도학습의 가능성”,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61-193, 2006.
  27. N. Manochehri, and J. I. Young, "The Impact of Student Learning Styles with web-Based Learning or Instructor-Base Learning on student Knowledge and Satisfaction", The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Vol.7, No.3, pp.313-316, 2003.
  28. R. Dunn, "Learning Style: state of the science", Theory into Practice, Vol.13, No.1, pp.10-19, 1984.
  29. D. A. Kolb, Experimental learn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4.
  30. D. A.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Self-scoring Inventory and Interpretation Booklet, Boston, Ncber and Company, 1985.
  31. R. Loo, “Kolb'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preferences: Is there linkage”, Educational Psychology, Vol.24, No.1, pp.99-108, 2004. https://doi.org/10.1080/0144341032000146476
  32. 박성희, 웹기반 훈련에서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강사 상호작용과 성취도 비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33. 박종선, 웹 기반의 적응적 조언 학습시스템에서 개인차 변인이 학습과정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34. 김상현, 노혜린, “Kolb 학습양식 검사지를 이용한 의과대학생의 학습양식분석”, 한국의학교육, 제19권 제3호, 2007.
  35. 정은경, 오선아, 윤태영, 이상진, 우영종, 이정애, 백영홍,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양식 비교”, 한국의학교육, 제21권, 제2호, pp.125-131, 2009.
  36. W. H. Gijselaers, and H. G. Schmidt,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asual Model of Problem-Based Learning. In Z. Nooman, H. G. Schmidt & E. Ezzat (eds.),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 Evaluation of its Present Status, Springer-Verlag, 1990.
  37. C. Perry, Learning Style,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Eric Document, No ED, 1994.
  38. A. E. Woolfolk, Educational Psychology, Allyn & Bacon,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