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준협, 윤병준, 정형선, “EQ-5D로 측정된 소득 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분해”, 보건과 사회과학, 제26집, pp.67-87, 2009.
- 최연희,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1권, 제2호, pp.87-100, 2004.
- E. K. Tanner, “Recognizing late-life depression; Why is this important for nurse in setting,” Geriatri Nurs, Vol.26, No.3, pp.145-149, 2005.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05.03.020
- 윤재희, 강종명, 김경수, 김승현, 김태환, 박용욱, 성윤경, 손주현, 송병주, 엄완식, 윤호주, 이오영, 이지현, 이창범, 이창화, 정원태, 최정윤, 최호순, 한동수, 배상철, “한국인 만성 질환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대한류마티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63-274, 2004.
- World Health Organization,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Department,” pp.1-60, 2002.
- 장은아, “농촌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남해성, 손명호, 권순석, 김순영, 박형철, 이청우, 손석준, 이정애, 최진수, “광주광역시 노인들의 만성질환과 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노인병학회, 제4권, 제3호, pp.172-190, 2000.
- 최영희, 신경림, 고성희, 공수자, 공은숙, 김명애, 김미영, 김옥수, 하혜정, 노인과 건강, 현문사, 2007.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005.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의 다빈도 질환의 유병률, 2002.
-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05.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검진조사, 2006.
-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성 질환자 진료 추이 분석, 2007.
- G. N. Torrance, “Utility approach to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hronic Disease, Vol.40, No.6, pp.593-600, 1987. https://doi.org/10.1016/0021-9681(87)90019-1
-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1988.
- 방활란, “말기 신질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1991.
- 신영전, 유원섭, 양영란, 김완호, 임재영, 재가 장애인의 기능 및 삶의 질 평가 척도 개발, 한양대학교 지역사회보건연구소, 2001.
- 정재임, 김경아,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경북전문대학 논문집, 제21권, 제1호, pp.375-396, 2002.
- 안영미,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 제12권, 제4호, pp.576-585, 2003.
- 박상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pp.785-796, 2006.
- 김귀분, 송선자, 석소현, “노인의 분노,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9-27, 2008.
- 신경림, 강윤희, 신미경, “남성노인의 전립선 증상,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041-1054, 2008.
- 정종순,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진미환,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손신영,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99-107, 2009. https://doi.org/10.4069/kjwhn.2009.15.2.99
- 오영호, 오진주, 지영건, 만성질환 실태와 관리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 J. Liang,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1, No.2, pp.248-260, 1986. https://doi.org/10.1093/geronj/41.2.248
- 한옥자,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간 건강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성상석,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임미숙, 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신현선, 일부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 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송선자, 노인들의 분노표현방식․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55-266,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55
- A. Campbell, “Subjective measure of well-being”, America Journal Psychologist, Vol.3, No.1, p.117, 1976.
Cited by
-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Aged in Korea vol.12, pp.1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 A study on the model of homebound senior's meal satisfaction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vol.6, pp.4, 2012, https://doi.org/10.4162/nrp.2012.6.4.357
-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by Type-D Personality of the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86
-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vol.19, pp.5,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4.19.5.479
- Prediction Model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vol.20, pp.2, 2014, https://doi.org/10.4258/hir.2014.20.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