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간호중재요법에 따른 통증정도 비교

Comparison of the Degree of Pain According to Nursing Intervention Method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Needle Insertion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 Yu, Young Mi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 Moon, Sung Mi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 Kim, Jin Youn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 Bae, Hyun Ju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 Ha, Hye Rim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투고 : 2011.05.31
  • 심사 : 2011.07.01
  • 발행 : 2011.08.31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compare the pain relief effects of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cold therapy, attention diversion and 10% Lidocaine spray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needling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also to identify and develop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pain relief in these pati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2010 to January 31, 2011 with 8 hemodialysis patients, who were on regular dialysis (3 times a week) at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had an arteriovenous fistula within the past 3 months. Each patient received the three nursing interventions (cold therapy, attention diversion and 10% Lidocaine spray therapy) prior to the arteriovenous fistula needling and applied in turn with the series being repeated 4 times. After each intervention, physiologic indexes, subjective and objective pain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needling. ANOVA was used with SPSS/WIN 12.0 to analyze pain scores and comparison of physiologic indexes (BP, pulse).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subjective pain (p=.574), objective pain (p=.562) and total pain (p=.506) among the 3 interventions. Systolic blood pressure (p=.689), diastolic blood pressure (p=.969) and pulse (p=.980)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3 interventions. Conclusion: These 3 interventions are all possible for pain relief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needling for these patients. However, the only interventions that nurses can do independently are cold therapy and attention diversion so we recommend that these nursing interventions be u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기원, 최승희, 송영혜(2010).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통증완화를 위한 냉요법과 에틸클로라이드 스프레이 분무 효과 비교. 투석간호, 21, 69-84.
  2. 김묘진, 백정희, 서원석, 김미영, 박선경, 박재성(2006). 입원 소아 환자에서 정맥주사 시 통증 및 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중재 연구. 한국의료QA학회지, 12 (1), 92-102.
  3. 김종임, 김현리, 박금옥, 민경애(1994). 전환간호중재가 혈액투석시 바늘삽입의 통증과 불안경감에 미치는 영향. 신장간호, 6, 54-59.
  4. 김현철, 곽임수, 김영훈, 김형규, 노정우, 박성광 등(2009). 통합 강의를 위한 신장학(제2판). 서울: E*PUBLIC.
  5.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2008).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인산 민병석 교수 기념 말기 신부전 환자 등록사업 2007-. 대한신장학회지, 27 (Suppl 2), S437-S457.
  6. 대한통증학회(2000). 통증 의학(둘째판). 서울: 군자출판사.
  7. 박덕, 유지영, 조규종, 유지영(2007). 응급실에서 정맥주사 시행 시9.6% 리도카인 표면국소마취제의 진통효과. 대한외상학회지, 20 (2), 115-118.
  8. 박재건(1999). 후두에 분무한 10% lidocaine의 국소마취 효과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9. 박정숙(1994). 피부자극이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시 동통 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 33 (1), 37-51.
  10. 박정숙(1998). 피부자극과 관심전환이 항암제 정맥주사 삽입시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8 (2), 303-318.
  11. 손덕수(1982). 정맥주사시 환자가 경험하는 동통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준합성항생제주사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안재형, Chan, L. (2004), 투석생활. 서울: 일조각.
  13. 우계숙, 안금숙, 허혜경(2000).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폐색과 관련된 요인분석. 신장간호, 11, 51-58
  14. 이명화, 송명숙(2002).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신체상. 신장간호, 13 , 5-17.
  15. 이세영(2011). 냉적용과 리도카인 패치가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시 통증 감소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이영화(2006), 혈액투석 환자들의 동정맥루 천자 시 2% lidocaine 피내주사와 10% lidocaine 분무의 효과비교.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7. 이은옥, 최명애(편.)(1993). 통증 - 이론 및 중재 -. 서울: 신광출판사.
  18. 이진주(2001). 이완술이 질경삽입시 통증과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19. 장애경(2000). 냉적용과 관심전환이 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 천자시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정명아(2002).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주사바늘 삽입시 온적용 및 냉적용이 통증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릉.
  21. 정명아, 김청자(2001).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전 온적용군과 비적용 군간의 동정맥루 천자시 통증의 차이 비교 연구. 강릉병원 임상간호학술집, 1 , 29-43.
  22. 조민희(2011). 관심전환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의 예방접종 시 통증 및 두려움 행동반응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서울.
  23. 조윤수(1990).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신장간호, 2, 56-69.
  24. 조효기(2010).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시 EMLA 크림도포와 유패치 플라스타 적용에 따른 통증완화 효과 비교. 투석간호, 21 , 37-55.
  25. 최송희, 백경희, 이정영, 임현빈, 김현정, 김윤수 등(2006),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통증완화를 위한 온요법과 냉요법의 효과. 임상간호연구, 12 (1), 179-189.
  26. 현신숙, 김은경, 김은정, 채혜정, 고윤희, 이미영(2004). 음악요법이 근골격계 외상 수술환자의 CPM운동 후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9 (2), 93-106.
  27. Art, S. E., Abu-Saad, H. H., Champion, G. D., Crawford, M. R., Juniper, K. H., Ziegler, J. B., et al(1994). Age-related response to lidocaine-prilocaine (EMLA) emulsion and effect of music distraction on the pain of intravenous cannulation. Pediatrics, 93 (5), 797-801.
  28. Buhse, M. (2006). Efficacy of EMLA cream to reduce fear and pain associated with interferon beta 1a injection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8 (4), 222-226. https://doi.org/10.1097/01376517-200608000-00004
  29. Curtin, R. B., Bultman, D. C., Thomas-Hawkins, C., Walters, B. A. J., & Schatell, D. (2002). Hemodialysis patients' symptom experiences: Effects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Nephrology Nursing Journal, 29 (6), 562, 567- 574.
  30. French, G. M., Painter, E. C., & Coury, D. L. (1994). Blowing away shot pain: A technique for pain management during immunization. Pediatrics, 93 (3), 384-388.
  31. Hocutt, J. E. Jr. (1981). Cryotherapy. American Family Physian, 23 (3), 141-144.
  32. Lander, J., & Fowler-Kerry, S. (1993). TENS for children's procedural pain. Pain, 52 (2), 209-216. https://doi.org/10.1016/0304-3959(93)90133-A
  33. McCaffery, M., & Beebe, A. (1989). Pain: Clinical manual for nursing practice. St. Louis, MO: Mosby.
  34. McLachlan, E. (1974). Pain and suffering. Recognizing pai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74 (3), 496-497.
  35. Melzack, R., Wall, P. D., & Ty, T. C. (1982). Acute pain in an emergency clinic: Latency of onset and descriptor patterns related to different injuries. Pain, 14 (1), 33-43. https://doi.org/10.1016/0304-3959(82)90078-1
  36. Snyder, M. (1992).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s (2nd ed.).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37. Soriano, D., Ajaj, S., Chuong, T., Deval, B., Fauconnier, A., & Darai, E. (2000). Lidocaine spray and outpatient hysteroscopy: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96 (5), 661-664. https://doi.org/10.1016/S0029-7844(00)009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