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논에서의 SS 유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 Export from Paddy Fields

  • 이경숙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정재운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최동호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윤광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우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임상선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박하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최강원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Lee, Kyoungsook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Jaewo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Choi, Dongho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Kwangsik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Woojung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oomyung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im, Sangsun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Hana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Lim, B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Choi, Gangwon (Rural Research Institute, KRC)
  • 투고 : 2011.09.01
  • 심사 : 2011.10.30
  • 발행 : 2011.11.30

초록

A five-year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to monitor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 (SS) export from paddy fields. The observed EMCs of SS ranged 1.2~517 mg/L (avg. 52.1 mg/L) during storm period. The concentration of SS during non-storm period were 1.1~349.5 mg/L (avg. 36.1 mg/L). Monthly load of SS was high during summer when rainfall amount was high. The load was higher than that of May when tillage effect is expecte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S EMCs and rainfall or drainage amount. However, effects of rainfall and drainag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event load of SS. But, there was no apparent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mount of cropping period and load of SS for that period. The observed SS load was 164.8~456.0 kg/ha (avg. 301.2 kg/ha) and mostly occurred during storm period. This study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S load estimation by USLE equation for paddy field could be overestimated, if not carefully handled. Monitoring studies for various climate, soil, and agricultural management are required to get better scope of SS export from paddy field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순국, 김복영, 김진수, 김태철, 윤춘경, 정재춘, 홍성구(1998). 지역환경공학, 향문사.
  2. 김건하, 김영철, 이동률, 정하영, 여중현(2003). 우리나라 농지-임야유역으로부터의 강우유출수 EMC 부하 분석 및 추정. 대한환경공학회지, 25(6), pp. 760-770.
  3. 김민경, 노기안, 이남종, 서명철, 고문환(2005). 경지정리된 광역논에서 영양물질수지와 배출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3), pp. 164-171.
  4. 김범철, 정성민(2007). 소양호의 탁수발생 실태와 환경학적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9(11), pp. 1185-1190.
  5. 김주훈, 김경탁, 이효정(2009).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 위험 지역 분석. 한국GIS협회지, 17(3), pp. 261-268.
  6. 김현수, 김진수, 김영일, 정병호(2004). 논의 영양물질 배출 부하 특성과 수질정화 기능 분석. 한국관개배수, 11(1), pp. 36-44.
  7. 박성천, 오창열, 진영훈, 김동수(2005). 섬진강 유역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11), pp. 1057-1062.
  8. 박지상, 김건하(2006). RUSLE 모델을 이용한 금강 유역의 토지 이용별 토사유출량추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pp. 619-625.
  9. 서춘석, 박승우, 임상준, 윤광식, 김상인, 강문성(2002). 관개 논에서 영양물질 추정모형의 개발. 한국농공학회지, 44(3), pp. 146-156.
  10. 안익성, 김영철, 이동률(2007). 경작기 농경배수에 의한 오염물질의 배출.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2), pp. 266-273.
  11. 원철희, 최용훈, 서지연, 김기철, 신민환, 최중대(2009).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4), pp. 615-623.
  12. 윤광식, 조진구, 한국헌, 최진규, 손재권, 조재영(2002a). 필지 논으로부터 영농기 토사유실량. 농촌계획학회지, 8(1), pp. 69-76.
  13. 윤광식, 최진용, 한국헌, 조재영(2002b). 논에서의 일주기 수질 조사로부터 유도된 오염물질의 강우-유출 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와 유출량-유하부하량 관계. 한국농공학회지, 44(5), pp. 127-135.
  14. 윤광식, 한국헌, 조재영, 최창현, 손재권, 최진규(2002c). 양수장지구 광역논으로부터 영농기간 영양물질의 유출 및 물질수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 pp. 15-25.
  15. 전지홍, 윤춘경, 최진규, 윤광식(2005). 관개방법에 따른 논에서의 수문 및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pp. 118-127.
  16. 전지홍, 윤춘경, 황하선, 윤광식(2003). 논에서 오염부하 예측을 위한 범용모형개발. 한국육수학회지, 36(3), pp. 344-355.
  17. 정성민, 장창원, 김재구, 김범철(2009). 한강상류 고령지 농업지역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 유출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1), pp. 102-111.
  18. 정재운, 윤광식, 윤석군, 최우정, 최우영, 허유정, 조경민, 홍정진(2009). 비우량 방법에 의한 논오염부하 원단위 산정시 적용성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6), pp. 849-854.
  19. 정재운, 윤광식, 최우정, 최우영, 이수형, 장남익, 홍순강, 주석훈(2008). 논에서 영양물질 수지를 이용한 논정화 능력분석. 한국습지학회, 10(3), pp. 1-7.
  20. 정재운, 윤광식, 최우정, 최우영, 주석훈, 임상선, 곽진협, 이수형, 김동호, 장남익(2008). 논으로부터 배출되는 영양물질 오염부하량 원단위 산정 방법 개선 방안 검토.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4(3), pp. 291-296.
  21. 정필균(1998). 토양보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 pp. 27-35.
  22. 조재원, 김진수, 오광영, 오승영(2006). 관개기 시험지구 논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 특성. 한국농공학회지, 48(3), pp. 97-106.
  23. 조재현, 연제철(2000). GIS를 이용한 동해안 하천유역의 토양유실량과 오염부하량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2(7), pp. 1331-1343.
  24. 최용훈, 원철희, 서지연, 신민환, 양희정, 임경재, 최중대(2009). 평지밭과 고랭지밭의 비점오염에 대한 분석과 비교.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5), pp. 682-688.
  25. 최우정, 곽진협, 정재운, 윤광식, 장남익, 허유정(2007). 영산강.섬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논오염부하산정 단순회귀모형 적용.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1), pp. 89-97.
  26. 최중대, 권순국, 권기석(2004). 점토질 롬 밭과 논의 비점오염원 부하량 평가. 한국농공학회지, 46(2), pp. 107-114.
  27. 최진규, 구자웅, 손재권, 윤광식, 조재영(2001). 마령지구 필지논으로부터 영농기 영양물질 수지와 유출부하량. 한국농공학회지, 43(5), pp. 153-162.
  28. 통계청(2010). 경지면적통계.
  29. 허우명, 김범철, 김윤희(1999). 달방댐 유입수의 강우에 따른 인 농도변화와 인 부하량. 한국육수학회지, 32(1), pp. 43-48.
  30. 환경부(1995). 비점오염조사사업연구보고서.
  31. 황하선, 공동수, 신동석, 전지홍(2004). 관개수원에 따른 논에서의 영양물질 배출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0(6), pp. 597-602.
  32. 田渕俊雄, 黑田久雄, 齊藤浩之, 高橋恵子, 室谷敬(1991). 灌漑期の農業集水域からの流出水の水質と負荷特性. 農業土木學會論文集, 154, pp. 55-64.
  33. Kunimatsu, T. (1983). Crop land recycling of nutrients and purification function in paddy fields. Research Report of Lake Biwa Research Institution, 2, pp. 28-35.
  34. Yoon, K. S., Choi, J. K., and Im, S. J. (2002). Effect of tillage management of paddy field on runoff and nutrient losses during non-cropping season. J. of KSAE, 44(7), pp. 5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