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Landscape Preference of Debris Barriers Types

사방댐의 유형별 경관선호 분석

  • Lee, Sang-W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Kang, Mi-He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Lee, Heon-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이상원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강미희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11.03.24
  • Accepted : 2011.04.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blic's preferences of different types of debris barriers and the impacts of construction materials, design, size, and planting on landscape preferences. On-site survey was carried out in Mt. Palgong during on December, 2009 and a total 122 visitors' data were analyzed. A total of 82 students Yeungnam and Donga University were also questioned in the classes during on December, 2009.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debris barrier constructed with natural materials such as stone were more preferred and the level of planting around the debris barrier impacted most on the landscape preferenc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has been increased in term of not only environmental conservation but also people's preferences. Therefore, the factors for enhancing landscape of debris barrier should be considered synthetic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material, design, size, and planting level.

본 연구는 시공 재료, 형태, 크기, 녹화수준이 서로 다른 사방댐에 대하여 일반인이 갖는 경관적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2009년 12월 팔공산 방문자 122명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동월 영남대학교 및 동아대학교 재학생 82명을 대상으로 강의실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사방댐의 시공재료는 전석과 같은 자연 재료가 선호되었고, 사방댐 주변에 식생을 식재하는 것이 가장 선호되었다. 연구 결과는 사방댐 설치 시 친환경적인 시공재료와 시공방법이 단지 환경보전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선호도를 높이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방댐의 경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공재료, 녹화방법, 사방댐 디자인,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생태계 보전을 고려한 공원시설물의 정비 및 조성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pp. 334.
  2. 김대현, 구본학. 1999. 경관영향평가 기법을 통한 댐건설에 대한 경관영향평가. 한국조경학회지 127(4): 80-86.
  3. 김세천, 허 준. 2007.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주변 경관 이미지 및 선호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2): 134-140.
  4. 김재준, 박찬우, 강민지. 2010. 산림경관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지자체 관리자 의식분석. 한국임학회지 99(4): 603-610.
  5. 명제갑, 손종은, 송협섭. 1999. 산림풍치의 시각적 질 평가를 위한 평점분석방법 비교. 한국산림휴양학회지 3(3): 45-55.
  6. 박재현, 조현서. 2004. 북한산국립공원 이용객의 계곡내 인공구조물에 대한 의식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21-35.
  7. 박재현. 2005. 북한산국립공원 계곡 내 인공구조물에 대한 경관선호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2): 21-32.
  8. 박찬용, 김영대. 1997. 도시경관 평가에 있어 녹지의 지역계획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1): 18-35.
  9. 산림청. 1998. 사방기술교본. pp. 743.
  10. 산림청. 2002. 환경친화적 사방공법 정립에 관한 연구. pp. 453.
  11. 산림청. 2010. 사방사업의 설계.시공 세부기준. 산림청 고시 제2010-102호.
  12. 송형섭. 1999. 산림풍치자원관리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 시각선호도 평가. 한국임학회지 88(3): 309-319.
  13. 이덕재. 2006. 조건부 로짓함수를 이용한 경관선호 모델-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6(6): 768-777.
  14. 이영경. 1994. 경관선호와 평가에 있어서 개인적 차이 및 유사성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5(1): 1-12.
  15. 이영경, 김정은, 이서율. 2010.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14-121.
  16. 이우성, 박경훈, 김동필. 2008. 등산로 개설에 의한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28-137.
  17. 임승빈, 신지훈. 1998. 국립공원 및 인접지역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283-292.
  18. 전근우, 차두송, 이재선, 서옥하, 김경남, 마호섭, 이준우, 박종민. 2002. 환경친화적인 사방공법 정립에 관한 연구. 2002년도 산림청 연구용역보고서. pp. 453.
  19. 전근우, 차두송, 마호섭, 박종민, 이준우, 김경남, 서정일, 이재선. 2003. 환경친화적 사방공법의 정립(I). 산림공학기술 1(1): 5-14.
  20. 전근우, 서정일, 문진희, 김석우, 염규진, 차두송, 김경남, 江崎次夫, 양돈윤. 2003. 산불 피해지의 토사유출과 하상변동. 대형산불방지 및 생태계 복원기술 심포지엄 논문집. pp. 64-85.
  21. 井浦勝美, 篠原修, 水山高久, 渡部文人, 柳澤今朝次郞, 泉岩男. 2002. 砂防堰堤の景觀デザイン檢討手法について. 砂防學會誌 54(6): 16-24.
  22. Benson, R.E. 1979. Esthetic impacts of harvesting and residue management public preference ratings.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imber harvesting in rocky mountain coniferous forests in sysmposium proceedings. pp. 443-440.
  23. Danial, T.C. and R. S. Boster. 1976. Measuring landscape esthetics : The scenic beauty estimation method.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167, Rocke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Forest Service, U. S. Department of Agiculture.
  24. Shafer, E.L., Hamilton, J.F. and Schmidt, E.A. 1969. Natural landscape perference : A perdictive mode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1):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