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Demand and Supply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ecialties in Korea (I): Estimation of Supply

산업의학 전문의 수급추계 및 전망(I): 공급추계

  • Kim, Jung-W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l) ;
  • Chae, Yoo-Mi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Leem, Jong-Han (, 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 김정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
  • 채유미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
  • 임종한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Objectives: To estimate the suppl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ecialties in the target year of 2020. Methods: We adopted alternative projection models combined with a demographic method as a supply forecasting method. The model uses data selected primarily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SOEM), a survey for certified members of KSOEM, audit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and Hospital Accreditation. We assumed five viable alternatives in supply forecas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assumptions, the tot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ecialties supply ranged from 706 by low-level supply estimates to 754 by high-level supply estimates in 2020. Among them, approximately 81% were estimated to engage themselves in agency for health management and periodic health examinations for workers exposed to hazards.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l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ecialties is related to the policy of MOEL. Further studies are needed concerning overall policy about health and safety and for the newly demanded market.

목적: 본 연구는 현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산업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한 산업의학 전문의가 실재적으로 부족한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력 공급의 불균형이 있는지 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을 목표연도로 하여 산업의학 전문의 공급량을 추계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체추계(alternative projection)모형에 근거하여 인력의 유입 유출 및 인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업의학 전문의 인력 공급량을 추계하였다. 2020년 산업의학 전문의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2006~2010년까지의 산업의학 1년차 전공의 정원대비 확보율을 파악하고, 두 가지 대안을 가정한 후 각 대안별로 공급량을 추계하였다. 공급추계에서 적용한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의학 전공의 정원은 의과대학 입학정원과 전체 전공의 정원과 상관없이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둘째, 산업의학 전공의 수련 및 고시와 관련된 산업의학 전공의 확보율, 전공의 수료율, 전문의 시험 합격률, 타과 전문의 편입률 등은 최근 5년 동안의 평균 값을 적용하였다. 셋째, 전문의 과정 수료자는 전원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며, 전문의 시험 불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전문의 시험 재응시율은 추계 모형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넷째, 타과 편입자는 전원 모두 전문의 과정을 수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다섯째, 해외 이주, 은퇴 등에 의한 인력의 유출 또는 유입은 무시하기로 하였으며, 산업의학전문의 사망률은 일반인구 사망률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결과: 2000~2009년까지 배출된 산업의학 전문의 123명 중 73명(67.5%)은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 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가 연구 8명(6.5%), 사업장 보건관리자 6명(4.9%), 일반진료 5명(4.0%)로 과반수 이상이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 기관에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6년 기관에 종사하는 산업의학 전문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35~44세군이 24.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0~74세군 13.4%, 45~49세군 8.1%순 이였다. 65세 이상 연령층이 35.1%로 전체의 삼분의 일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2006~2010년까지 최근 5년간 산업의학 전공의 확보율은 84.9%, 전공의 수료율은 80.8%, 전문의 시험 합격률은 93.1%, 타과 전문의 편입율은 7.2%였다. 저위공급추계의 경우 2020년 산업의학 전문의 수는 706명, 이들 중 특수건강진단과 보건관리대행 업무 종사자는 677명으로 추계되었다. 고위공급추계의 경우 2020년 산업의학 전문의 수는 754명, 이들 중 특수건강진단과 보건관리대행 업무 종사자는 714명으로 추계되었다. 저위공급추계와 고위공급추계간의 산업의학 전문의 수의 차이는 5~48명으로 추계년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이 폭이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산업의학 전문의에 대한 인력추계가 시행된 바는 없다. 새로운 산업보건서비스를 기획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인력에 대해서 이제라도 수요과 공급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시점에 본 연구는 산업의학 전문의 공급추계의 여러 제한점들에도 불구하고 인력 계획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새로운 산업보건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미래 지향적인 인력 수급 계획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Occupational Health Committee. The Prospect and Suppl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pecialties (translated by Chae YM).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2010. pp 1-10. (Korean)
  2. Medical Today. Reform of Special Medical Examination Institutes (translated by Chae YM). Available: http://www.mdtoday.co.kr/mdtoday/ index.html?no=19929 [cited 12 March 2008]. (Korean)
  3. Ministry of Labor. The Meeting for Discussion of Qualification of Occupational Medicine Specialties, a Official Document (translated by Chae YM).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oul. 2009. pp 1-4. (Korean)
  4. Jung SH. The comparison of methodologies in the balance studies of supply and demand of physician manpower. Kwandong Collected Papers 1998;26:309-24. (Korean)
  5. Pack HA, Choe JS, Ryu SO. The Short and Long-term Supply of Manpower Planning - Physician, Dentist - (translated by Chae Y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1990. pp 1-10. (Korean)
  6. Jo JG, Lee SH. The Basic Research about Supply of Specialties According to Medical Section (translated by Chae Y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1993. pp 1-3. (Korean)
  7. Song GY, Choe JS, Kim DG. The Prospect of Supply of Medical Doctor in 2010 (translated by Chae Y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1994. pp 1-8. (Korean)
  8. Kim CY, Yun SJ, Kim SM. Future supply of and demand for diagnostic radiologists in Korea. J Korean Soc Radiol 1997;36(2):343-8. (Korean) https://doi.org/10.3348/jkrs.1997.36.2.343
  9. Kim CY, Kim Y. Projection of supply of and demand for psychiatrist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4):689-701. (Korean)
  10. Choi EY, Jo JG, Kim JS, Moon HS. The supply and demand projection of dentists and the evaluation of its appropriatenes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9;23(3):301-15. (Korean)
  11. Kim SR, Jang JS, Yu SJ, Park SG, Ha BM. A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Planning of the Medical Specialists Manpower and the Policy Development of Quality Improvement for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002. pp 181-4. (Korean)
  12. Kim MG, Sin HS, Hong SH, Yang SY, Yu FI. Dental Specialists Workforce Planning Scheme in Korea (translated by Chae Y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alth Promotion Activies Board 2004 pp 1-3. (Korean)
  13. O YH. The Short and Long-term Projection of Medical Service Supply (translated by Chae Y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2006 pp 1-3. (Korean)
  1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Yearbook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Statistics.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eoul. 2009 pp 125-139. (Korean)
  15. Korean Hospital Association. The Annual Report on Inspection for Standardization of Hospital and the Quota of Resident (translated by Chae YM). Korean Hospital Association Seoul. 2006-2010 pp 15-35. (Korean)
  16.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9. Statistics Korea. Available: http:// www.kosis.kr/ups/ups_01List01.jsp?pubcode=YD [cited 1 August 2010]. (Korean)
  17. Ji YG. The Feasibility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National Defense Graduate School in Korea (translated by Chae YM). Korean Medical Association Seoul. 2009 pp 167-170. (Korean)
  18. Hall TL, Majia A. Health Manpower Planning: Principles, Methods, issues. Geneva. WHO. 1978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Quota of Medical School in 2007 year (translated by Chae YM). Office for Healthcare Policy, Division of Healthcare resources Seoul. 2003 pp 1-4. (Korean)
  20. Cho KS. The Industrial Health Doctor System Should be Restored (translated by Chae YM). Korean Industry Health Association Seoul. 2009 pp 9-24. (Korean)
  21. LaDou J. The rise and fall of occupational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Am J Prev Med 2002;22(4):285-95. https://doi.org/10.1016/S0749-3797(02)00414-2
  22. Koo JW. The vision of occupational medicine specialties (translated by Chae YM).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2009;258(Oct):2-4.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