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석-해일 결합모형을 이용한 목포시 범람 모의

Simulation of Inundation at Mokpo City Using a Coupled Tide-Surge Model

  • 박선중 ((주)혜인이엔씨 기술연구소) ;
  • 강주환 (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
  • 문승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기획부) ;
  • 김양선 (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 Park, Seon-Jung (Technology R&D Institute, Hyein E&C) ;
  • Kang, Ju-Whan (Major in Civil Engineeri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ung-Rok (Planning & Projecting Department, GeoSystem Research Corporation) ;
  • Kim, Yang-Seon (Major in Civil Engineeri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18
  • 심사 : 2011.02.10
  • 발행 : 2011.02.28

초록

박 등(2010)의 연구에서 적용성이 입증된 조석-해일 결합모형을 이용해 목포시에서 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MIKE21 모형을 결합모형으로 활용하였으며, 적용영역은 박 등(2010)의 연구와 동일하게 선정하였고 범람모의를 위해 목포시에 대한 정밀역을 추가하였다. 하절기의 대조기 고조시에 맞춰 가상태풍이 목포해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에 대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경우 발생된 고조위 556 cm는 100년 빈도 정도로 평가된다. 계산된 최대 범람영역을 살펴보면 목포시 내항 및 북항 인근에서 50~100cm 가량 침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내항에서 해안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A coupled tide-surge model, which has been evaluated the utility in the previous study, is applied for simulating the inundation phenomena. The coupled model system adopts the hydrodynamic module of MIKE21 software, and the study area is identical to the previous study. The only difference is additional detailed areas for simulating inundation. An artificial scenario of a virtual typhoon striking Mokpo coastal zone at spring high tide is simulated. Then the calculated water level corresponds to the extreme high water level(556 cm) for 100 year return period. The result also shows the inundation depth is 50~100 cm not only near the Mokpo Inner Port but also near the Mokpo North Port. Finally, the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 is drawn on the basis of inundation simulation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4). 해수유동모형에서 조간대 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3B), 259-265.
  2.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5).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 영역 확대의 영향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7(1), 47-54.
  3.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6). 조석/해일 환경변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B), 99-106.
  4. 강주환, 박선중, 김양선, 소재귀 (2009a).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57-370.
  5. 강주환, 박선중, 문승록, 윤종태 (2009b). 태풍의 특성변화에 따른 경남해역 해일양상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1), 1-14.
  6. 강주환, 박선중, 박민원 (2008).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과 해일고 증가 경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1), 14-24.
  7. 김도삼, 김지민, 이광호, 이성대 (2007). 연안역에서 고파랑과 폭풍해일을 고려한 침수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1(2), 35-41.
  8. 문승록, 강태순, 남수용, 황준 (2007).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9(5), 492-501.
  9.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윤종태 (2006). MIKE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18(4), 348-359.
  10. 박선중, 강주환, 김양선, 문승록 (2010). 조석-해일 결합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2(4), 248-257.
  11. 박선중, 강주환, 문승록, 윤종태 (2009). 이동경계기법을 이용한 해수유동모형의 범람 적용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2), 164-173.
  12. 이정렬, 강주환, 윤종태 (2008). 목포 북항에서 풍파에 의한 해 수범람의 수치 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3B), 307-313.
  13. 천재영, 이광호, 김지민, 김도삼 (2008). 태풍 매미(0314호)에 의한 마산만 주변연안역에서의 범람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3), 8-17.
  14. 행정자치부 (1998). 서해안 해수범람 흔적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보고서.
  15.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a). 부산연안에서 폭풍해일고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37-44.
  16.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b).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45-53.
  17. DHI Water and Environment (2007). User guide and reference manual. Hydrodynamic Module.
  18. Ip, J. T. C., Lynch, D. R. and Friedrichs, C. T. (1998). Simulation of estuarine flooding & dewatering with application to Great Bay. New Hampshir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7, 119-141. https://doi.org/10.1006/ecss.1998.0352
  19. Leendertse, J. J. (1967). Aspects of a computational model for long water wave propagation. Memorandum RH-5299-PR,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20. Madsen, H. and Jakobsen, F. (2004). Cyclone induced storm surge and flood forecasting in the northern Bay Bengal. Coastal Engineering, 51, 277-296.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4.03.001
  21. Olbert, A. I. and Hartnett, M. (2010). Storms and surges in Irish coastal waters. Ocean Modelling, 34, 50-62. https://doi.org/10.1016/j.ocemod.2010.04.004
  22. Stelling, G. S., Kernkamp, H. W. J. and Laguzzi, M. M. (1998). Delft flooding system (FLS): A powerful tool for inundation assessment based upon a positive flow simulation.
  23. Xie, L., Pietrafesa, L. J. and Peng, M. (2004). Incorporation of a mass-conserving inundation scheme into a three dimensional storm surge model.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0, 1209-1223.

피인용 문헌

  1. Frequency Analysis on Surge Height by Numerical Simulation of a Standard Typhoon vol.28, pp.5, 2016, https://doi.org/10.9765/KSCOE.2016.28.5.284
  2. Numerical Experiments of Storm Surge and Coastal Inundation by Unstructured Grid Finite Volume Model FVCOM vol.13, pp.5,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5.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