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The Liver Function of Inpatient with Facial Palsy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군의 한약복용이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백상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조은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 박민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Received : 2011.11.05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25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 : Recently it is true that increasing interest in Oriental medicine and usage of herbal medicin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the stability of herbal medicine. So,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ee whether or not the treatment with Sanghan-Bang(傷寒方) is effective on the liver function besides its effectiveness in treating facial palsy. Methods : We examined serum TP, Albumin, TB, AST, ALT, ALP, LDH, ${\gamma}$-GGT levels, and facial palsy states in 37 patients with facial palsy who had admission treatment in an oriental medical hospital. Results and Conclusion : 1. We found the levels of TP, albumin, TB, and ${\gamma}$-GGT had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AST, ALT, LDH and ALP levels had decreased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We analyzed the herbal group that may be efficient to the liver function; Daehwang-Jae(16 case), Injin-Jae(12 case), and Chija-Jae(6 case) in this order. 3. From the eight cases using oriental medicinal concoctions using one of Daehwang, Injin-Jae or Chija as their main component, the liver function test results displayed decreasing values, re-entering into normal LFT ranges. 4. As we compared the admission House-Brackmann Scale with discharge, the treatment was effici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words

References

  1. 장인수. 약인성 간 손상의 진단기준 및 원인산정법.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05:12-8.
  2. 성영호, 조성범, 주영은, 김현수, 최성규, 유종선, 김세종.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간 손상 환자의 임상적 분석. 대한간학회지. 2001;7(2):95.
  3. 안병민. 식물에 의한 간 손상의 사례와 대책. 대한간학회지. 2001;7(3):99-110.
  4.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일문각. 1997:121-7.
  5.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1:519-24.
  6. 張機. 原著. 顧武軍 主編. 傷寒論. 北京:中國醫藥科持出版社. 1998:56, 58, 71, 99, 103, 129, 188.
  7. 張機. 原著. 沈繼澤 主編. 金匱要略. 北京:中國醫藥科持出版社. 1996:42, 95, 97, 129, 142, 163.
  8. 노의준, 강한은, 노영범. 古方類聚. 서울:복치의학회 출판국. 2009:12-14.
  9.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g. 1953;93:146-7.
  10. 김미보, 김자혜, 신상호, 윤화정, 고우신. 안면신경기능의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155.
  1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편. 최신지견내과학. 제1판. 서울:고려의학. 2003:498.
  12. 하영애, 정경동, 천병렬. 남성 근로자들에서 간 기능 이상소견 발생률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59-69.
  13. 이상엽, 최상한, 김윤진. 중년의 과체중 환자에서 체중변화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2002;11(4):362-8.
  14. 대한내과학회 편. Harrison's 내과학. 16th edition. 서울:도서출판 MIP. 2006:456-63, 1976-80.
  15. Guyton & Hall. 강대길 외 역. 의학생리학. 10th edition. 서울:정담. 2002:905-18.
  16. 김석, 진승희, 김태희. 동의보감을 위주로 한 비만의 원인, 증상, 치료법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8;19(2):125-6.
  17. 全國韓醫科大學 肝系內科學敎室, 肝系內科學. 서울:財團法人 東洋醫學硏究院. 2001:13-5, 19-29, 36-9.
  18. 채회복. 약인성 간 손상의 임상상과 진단. 대한간학회지. 2004;10(1):7-18.
  19. 서정일. 독성 및 약인성 간손상-발생기전. 대한간학회지. 2004;10(1):30-44.
  20. 李圭晙. 素問大要. 서울:大星出版社. 1999:193, 220.
  21. 繆希雍. 神農本草經疏.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7:1-16.
  22. 전국한의과대학간계내과학교수. 간계내과학. 서울: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2001:801-803.
  23. 안병인. 식물에 의한 간손상의 사례와 대책. 대한간학회지. 2001;7(3):99-109.
  24. 김병운. 生肝健脾湯이 간장의 대사와 재생 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양의학. 1982;22(1):32-57.
  25. Ichiro Shimisu. Effect of Sho-saiko-to, a Japanese Herbal Medicine on Hepatic Fibrosis in Rat Hepatology.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1999;29(1):149-60.
  26. 김형석, 노진환, 문상관, 조기호, 배형섭, 이경섭. 한약의 장기투여가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학. 1999;15(1):71-6.
  27. 김동웅, 김관식. 장기간 한약투여가 B형 바이러스간염 표면항원 양성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9;13(2):128-33.
  28. 이은, 박병욱, 허금정, 고흥. 한약과 민간약물의 독성 및 부작용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23(2):222-6.
  29. 이대용, 이성근, 이기상, 양명복. 장기입원환자의 한약투여 후 AST, ALT 변화.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02:142-8.
  30. 장경식, 백태현, 하지영. 보중익기탕합인진사령산(補中益氣湯合茵蔯四笭散)이 $CCl_4$ 중독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9;11(1):12-8.
  31. 장혜옥, 엄현섭. $CCl_4$로 수발한 흰쥐 간손상에 미치는 보간탕(補肝湯), 사간탕(瀉肝湯)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7;11(1):83-9.
  32. 하지용, 백태현, 이재복.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이 $CCl_4$로 유발된 백서(白鼠)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 1997;11(2):27-35.
  33. 박원환.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galactosamine에 의한 백서(白鼠)의 간손상유발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7;11(2):118-25.
  34. 김경아. 간기능검사의 이해와 적용. 대한내과학회지. 2009;76(2):163-8.
  35. 김윤준. 간기능 검사 해석. 대한소화기학회지. 2008;51:219-24.
  36. 최승제, 박승하. 정적재건술을 이용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방법.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998;25(8):61-2.
  37. 黃載然, 李秉烈. 口眼喎斜의 治療穴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8;7(1):817-29.
  38. 이승우, 육태한, 한상원. 口眼喎斜의 침구요법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대한침구학회지. 1996;16(1):107-24.
  39. 越貴廷, 楊思澍.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1:143, 793, 1428.
  40. 복치의학회. 복진과 고법의학. 서울:복치의학회출판국. 2009:3-53, 38, 42, 63, 72.
  41. 吉益東洞. 藥徵. 서울:청흥출판사. 2006:56, 105, 112, 153, 174, 209.
  42. 노영범, 노의준. 圖解類聚方. 서울:복치의학회출판국. 2010:43, 44, 49-53, 55, 56, 62, 69, 93.
  43. 원재선, 주경옥, 조아름, 김창환. 안면마비(Bell's Palsy) 후유증 환자에 대한 임상 고찰 18례.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3):16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