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iting Behaviors of Researchers in Korea Civil Engineering

우리나라 토목공학분야 연구자의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서현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규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1.11.16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ypes of primary sources cited by South Korean civil engine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imary sources by preference are academic journal (55.7%), book (15.6%), seminar contents (10.2%). 2) documents published within last 10 years (26.1%) are cited most often. 3) domestic journal is the primary academic journal cited, and the finding is similar in preference of top-ranked primary reference (domestic and foreign combined). 4) In terms of time, domestic sources are preferred for up-to-date publications, and foreign sources for relatively non-recent publications. 5) The indices of influence and extemporaneity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sources do not show high numbers simultaneously.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목공학분야 연구자들이 참조하는 정보원의 유형을 인용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요 인용정보원은 학술지(55.7%)와 단행본(15.6%)과 회의자료(10.2%) 순이었다. 2) 출판 후 10년 이내(26.1%)의 문헌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3) 핵심학술지는 국내학술지였으며, 상위권 핵심학술지 선호도에서도 국내와 국외문헌의 의존도가 유사하였다. 4) 최신자료의 경우 국내문헌을, 출판 이후 경과시간이 오래된 자료의 경우 국외문헌을 선호하였다. 5) 국내외 모든 핵심학술지들이 영향력 지수와 즉시성 지수의 값이 동시에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주. 2008.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SCI(E) 등재논문 인용분석 -K대학교 연구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 김홍렬. 2003. 과학기술 문헌의 인용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4): 1-21.
  3. 이수상. 1999. 지식사회학의 연구방법으로서 인용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2): 155-178.
  4. 이승원. 2008.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정보이용행태 연구 -화학분야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9(2): 185-209.
  5. 이윤혜. 2002. 한국 의학학술지의 인용도 및 인용분석 지표의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6. 이해영. 한국전기, 전자공학 분야의 인용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1(1): 57-79.
  7. 서은경. 1992. 정보검색분야의 지적 구조와 변화에 관한 연구 : 영어문화권 저자들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9(1): 55-82.
  8. 신선희, 2009. 인용분석을 통한 핵심 법학학술지 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9. 장환석. 2006. 기계공학분야 연구자의 문헌인용 행태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0. 조선례. 2010. 의학 분야 학술지 선정을 위한 계량서지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1. 조현선. 2004. 공학분야 연구자의 문헌인용 행태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2. 최광남. 2004. 국내학술지 영향력지표 분석을 위한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KSCI)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271-289.
  13. 최상기. 1996. 한국과 일본의 기계공학분야의 인용분석 비교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3(2): 121-141.
  14. Elise Bassecoulard, Lelu. Alain, and Zitt. Michel. 2007. "Mapping Nanosciences by Citation Flows: A Preliminary Analysis." Scientometrics, 70(3): 859-880. https://doi.org/10.1007/s11192-007-0315-1
  15. Dulle, F. W., M. J. F. Lwehabura, D. S. Matoveloet, and R. T. Multimila. 2004. "Creating a core journal collection for agricultural research in Tanzania : citation analysis and user opinion techniques." Library Review, 53(5): 270-277. https://doi.org/10.1108/00242530410538418
  16. Gross P. L. K. and E. M. Gross. 1927. "College Libraries and Chemical Education." Science, 66: 1229-1234.
  17. Mubeen. M. A. 1996. "Citation Analysis of Doctoral Dissertation in Chemistry." Annals of Library Science and Documentation, 43: 48-58.

Cited by

  1.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itation in Korean Material Science Articles vol.30, pp.1,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31
  2. A Study on the Citation Behavior by Academic Background of Researchers vol.33, pp.1, 201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