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erception of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on Porphyritic Texture

반상조직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의 인식

  • Kim, Yong-Hwa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Fus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Duk-Ho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Fus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A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Fus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eong-Ji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Fus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용환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 최진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 박경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1.11.17
  • Accepted : 2011.12.1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about the porphyritic texture of igneous rocks, and to suggest the teaching device that can prevent a trial and error of students in earth science instruction. We developed an interview guideline concerned with basic perception on the porphyritic texture, formation condi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porphyritic rocks, teaching and learning on porphyritic rocks for it. And data was collected from 5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3 high schools, 2 middle schools) through a group discussion method. In result, despite the porphyritic texture can be found at hypabyssal rocks as well as volcano rocks and plutonic rocks, most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cognized that it could be found at hypabyssal rocks only by focusing the formation depth of hypabyssal rocks. Also, the formation of porphyritic texture should be considered the factors such as cooling rate, nucleation density, growth rate, growth time, etc. However they mainly reflected the formation temperature and growth rate as it's parameter. Participants have wrongly perceived that a phenocryst necessarily differs from a groundmas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they are inclined to discriminate phenocryst from groundmass through their chemical differences, instead of grain size.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성암의 반상조직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을 확인하고,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시행착오를 방지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반상조직에 대한 기본인식, 생성조건 및 생성과정,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인터뷰 가이드를 구성하였고, 초임 지구과학교사 5명(고등학교 3명, 중학교 2명)을 대상으로 개방적 토론식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상조직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상조직이 모든 화성암에서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은 산출상태에 집중하여 화산암과 심성암에서는 반상조직이 발견될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 반상조직의 생성 변수로서 냉각 속도, 핵형성 밀도, 성장속도, 성장기간 등의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은 생성 온도와 냉각속도 등의 요인을 주로 생성 변수로서 인식하고 있다. 반상조직은 반정과 석기의 상대적인 결정의 크기나 입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분의 차이로 구별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은 보웬의 반응계열과 연관지어 각 반정과 석기의 성분이 반드시 다를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6, 지구과학 I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p.
  2. 고정선, 윤성효, 한종수, 2008,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화성암의 조직에 대한 용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 305-314. https://doi.org/10.5467/JKESS.2008.29.3.305
  3. 국동식, 2002, 온실효과에 대한 고등학교 공통과학교과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3, 455-460.
  4. 곽영순, 2009,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354-365. https://doi.org/10.5467/JKESS.2009.30.3.354
  5. 김희수, 정남식, 신동언,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6, 지구과학 II. 천재교육, 서울, 368p.
  6. 문병찬, 정진우, 정철환, 2005, 예비과학교사들의 화성암 육안분류 능력. 한국지구과학회지, 26, 630-639.
  7.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421-430.
  8.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6, 지구과학 II. 교학사, 서울, 304 p.
  9.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6, 지구과학 II. 대한교과서, 서울, 351 p.
  10.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6, 지구과학 II. 금성출판사, 서울, 391 p.
  11. 전화영, 유미현, 홍훈기, 박은이, 2009,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수업 불안 실태 및 전문성 발달 노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68-78.
  12. 정지곤, 이종만 역, 2000, 화성암석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390 p.
  13. 허창회,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6, 지구과학 II. 지학사, 서울, 335 p.
  14. Carter, K., 1990,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 In Houston, W.R.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Y, USA, 709-723.
  15. Darling-Hammond, L., 1995, Changing conceptions of teaching and teacher development.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2, 9-26.
  16. Hibbard, M.J., 1995, Petrography to petrogenesis. Prentice Hall, NJ, USA, 587 p.
  17. Lederman, N.G., Gess-Newsome, J., and Latz, M.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29-1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5
  18. Lofgren, G.E., 1983, Effect of heterogeneous nucleation on basaltic textures: A Dynamic crystallization study. Journal of Petrography, 24, 229-255.
  19. Philpotts, A.R., 2003, Petrography of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Waveland, USA, 192 p.
  20. Smith, D.C. and Neale, D.C., 1991, The construc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in prim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 1-20.
  21. Swanson, S.E., 1977, Relation of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rate to the development of granitic textures. America Mineralogist, 62, 966-978.

Cited by

  1.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ol.35, pp.6,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6.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