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갑상선 종양의 특징적인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의 조영증강 소견: Preliminary Report

Characteristic Dynamic Enhancement Patter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Malignant Thyroid Tumor: A Preliminary Report

  • 박영남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황희영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심영섭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변성수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최혜영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형식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Park, Young-Nam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Hwang, Hee-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Shim, Young-Sup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Byun, Sung-Su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Choi, Hye-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im, Hyung-Sik (Department of Radiology, Gil Hospital,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발행 : 2011.11.01

초록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악성 갑상선 종양이 어떤 역동 조영증강 소견을 보이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병리 조직 검사에서 악성 갑상선 종양으로 확인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5명의 유두암종(papillary carcinoma), 1명의 수질암종(medullary carcinoma), 1명의 소포암종(follicular carcinoma), 1명의 세침흡입검사에서 확인된 비정형세포(atypical cell)의 환자로 구성되었다. 모든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3.0-T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unit, Magnetom Verio (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로 얻어졌으며, MRI protocol은 axial fast spin-echo T2-weighted MR image, axial T1-weighted image and contrast agent-enhanced dynamic T1-weighted images의 pulse sequence를 포함하였다. 조영제는 paramagnetic contrast agent (gadobutrol, Gadovist; Schering, Berlin,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외 병리 조직 검사결과와 초음파 검사결과는 후향적으로 확인하였다. 갑상선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한 모든 환자에게 설명 후 동의를 받았으며 병원 윤리위원회에서 갑상선 자기공명 영상 검사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결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각 종양의 조직형에 따른 역동 조영증강 소견을 비교해 보았다. 1) T1 강조영상에서 1명의 유두암종 환자는 고신호 강도 종괴로 보였고, 1명의 수질암종 환자는 저신호 강도 종괴로 보였으며, 그 외 6명의 경우는 갑상선 실질과 구분되어 보이지 않았다. 2) T2 강조영상에서 3명의 유두암종 환자와 1명의 소포암종 환자만 고신호 강도 종괴로 확인이 되었으며 1명의 유두암종 환자는 저신호 강도 종괴로 확인되었다. 그 외 환자 3명의 종괴는 갑상선 실질과 구분되어 보이지 않았다. 3) 역동적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에서는, 5명의 유두암종 환자와 1명의 수질암종 환자가 정상 실질에 비하여 지연된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다. 1명의 소포암종 환자의 경우 종괴는 정상 실질과 비교하였을 때 강한 초기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으며, 1명의 유두암종 환자의 종괴는 지속적으로 정상 실질보다 감소된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다. 결론: 위 연구는 8명이라는 적은 환자군을 가지고 악성 갑상선 종양이 역동 조영증강 양상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위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의 조영증강 검사에서 지연 조영증강 pattern은 악성 갑상선 종양의 하나의 특징적인 소견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앞으로 양성 갑상선 종괴의 자기공명영상 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가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dynamic enhancement pattern of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for malignant thyroid tumor.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ho were pathology proven to have a malignant thyroid tumor, preoperatively. There are 5 papillary carcinomas, 1 medullary carcinoma, 1 follicular carcinoma, and 1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proven atypical cell. Results: Based on preoperative MR imaging, we compared the dynamic MR enhancement pattern relating to the pathologic type. On contrast agent-enhanced dynamic T1-weighted image (T1WI), 5 papillary carcinoma and one medullary carcinoma showed delayed enhancement compared to normal parenchyma. In addition, one follicular carcinoma shows stronger enhancement than normal parenchyma, with one papillary carcinoma showing a persistent decrease in enhancement compared to normal parenchyma.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by a small patients population, the data suggests that delayed enhancement on enhanced dynamic T1WI is a possible characteristic MR finding of a malignant thyroid tumor. I think that the comparison of MR imag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is required for a correct character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de la Torre NG, Buley I, Wass JA, Turner HE. Angiogenesis and lymphangiogenesis in thyroid proliferative lesions: relationship to type and tumour behaviour. Endocr Relat Cancer 2006;13:931-944 https://doi.org/10.1677/erc.1.01210
  2. Jugenburg M, Kovacs K, Stefaneanu L, Scheithauer BW. Vasculature in nontumorous hypophyses, pituitary adenomas, and carcinomas: a quantitative morphologic study. Endocr Pathol 1995;6:115-124 https://doi.org/10.1007/BF02739874
  3. Turner HE, Nagy Z, Gatter KC, Esiri MM, Harris AL, Wass JA. Angiogenesis in pituitary adenomas and the normal pituitary gland.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1159-1162 https://doi.org/10.1210/jc.85.3.1159
  4. Niveiro M, Aranda FI, Peiro G, Alenda C, Pico A.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 angiogenic factors in human pituitary adenomas. Hum Pathol 2005;36:1090-1095 https://doi.org/10.1016/j.humpath.2005.07.015
  5. Stark DD, Moss AA, Gamsu G, Clark OH, Gooding GA, Webb W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neck. Part II: pathologic findings. Radiology 1984;150:455-461 https://doi.org/10.1148/radiology.150.2.6691101
  6. Higgins CB, McNamara MT, Fisher MR, Clark OH. MR imaging of the thyroid. AJR Am J Roentgenol 1986;147:1255-1261 https://doi.org/10.2214/ajr.147.6.1255
  7. Weidner N, Semple JP, Welch WR, Folkman J. Tumor angiogenesis and metastasis--correlation in invasive breast carcinoma. N Engl J Med 1991;324:1-8 https://doi.org/10.1056/NEJM199101033240101
  8. Des Guetz G, Uzzan B, Nicolas P, Cucherat M, Morere JF, Benamouzig R, et al. Microvessel density and VEGF expression are prognostic factors in colorectal cancer.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Br J Cancer 2006;94:1823-1832 https://doi.org/10.1038/sj.bjc.6603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