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egion and Age on Nut Quality of Major Chestnut Cultivars (Castanea spp.) cultiv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우리나라 중부지역 주요 밤 재배품종의 지역 및 수령에 따른 과실품질

  • Kim, Mahn-Jo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Yun Mi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Suk-In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특용자원연구과)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특용자원연구과) ;
  • 박윤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특용자원연구과) ;
  • 황석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특용자원연구과)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7.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ion and age on nut quality of major chestnut cultivars (Castanea spp.) cultiv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 quality control and processing of postharvest. In the survey of by regions and ages, Buyeo and 'Hyogo57' showed the highest value by regions and cultivars,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gions and cultivars in the value of soluble solid content and kernel hardness. In the soluble solid content, Gongju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regions, and 'Tsukuba' among cultivars was the highest, 20.5%. Cheongya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kernel hardness among regions, and 'Tanzawa' among cultivars showed the lowest value of kernel hardness, $8.75kg/cm^2$. In 'Tanzawa', 'Okkwang' and 'Tsukuba', soluble solid content and kernel hard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but no correlation with age.

본 연구는 수확 후 밤 품질관리 및 가공을 위한 특성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을 대상으로 지역 및 수령에 따른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 및 품종별 과실 입중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는 부여가 가장 크고, 품종별로는 '병고57호'가 타 품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품종별로 과실당도와 과육경도를 조사한 결과, 품종 및 지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당도의 경우, 지역별로는 공주가 높고, 품종별로는 '축파'가 20.5%로 타 품종보다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경도에 있어서는 지역별로는 청양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품종별로는 단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단택', '옥광', '축파' 세 품종을 대상으로 수령에 따른 입중, 당도, 경도를 조사한 결과, 세 품종 모두 입중을 제외한 당도 및 경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었으나 수령과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희, 이욱, 황석인, 백을선. 2009. SCB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 특성. 한국임학회지 98(6): 676-680.
  2. 김만조, 김선창, 이 욱. 2006. 한국의 밤나무 품종. 대형출력. pp. 28.
  3. 김만조, 김선창, 황명수. 2007.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밤나무 재배 신기술. 웃고문화사. pp. 9.
  4. 김만조, 이 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2003.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321-332.
  5. 농협중앙회. 2011. 밤 농작물재해보험 표준수확량 조사연구. 연구용역과제 종결보고서 pp. 40-41.
  6. 산림청. 2009. 임업경영실태조사보고서I. pp. 2.
  7. 산림청. 2010. 임업통계연보 제41호. pp. 3.
  8. 최성태, 강성모, 김태춘. 2006. 과수원 입지조건과 수관위치에 따른 부유 감의 과실특성과 저장성. 원예과학기술지 24(3): 359-363.
  9. 최성태, 최재혁, 조용조, 신현열, 강성모. 2009. 부유 감나무의 수령에 따른 수체 생장과 수량 변화. 원예과학기술지 27(3): 386-390.
  10. De la Montana Miguelez, J., Miguez Bernardez, M. and Garcia Queijeiro, J.M. 2004. Composition of varieties of chestnuts from Galicia (Spain). Food Chemistry 84: 401- 404. https://doi.org/10.1016/S0308-8146(03)00249-8
  11. Famiani, F., Proietti, P., Palliotti, A., Ferranti, F. and Antognozzi, E. 2000. Effects of leaf to fruit ratios on fruit growth in chestnut. Scientia Horticulturae 85: 145- 152. https://doi.org/10.1016/S0304-4238(99)00132-6
  12. Miguez Bernardez, M., De la Montana Miguelez, J. and Garcia Queijeiro, J. 2004. HPLC determination of sugars in varieties of chestnut fruits from Galicia (Spain).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7: 63-67. https://doi.org/10.1016/S0889-1575(03)00093-0
  13. Pereira-Lorenzo, S., Ramos-Cabrer, A.M., Díaz-Hernández, M.B., Ciordia-Ara, M. and Ríos-Mesa, D.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 cultivars from Spain. Scientia Horticulturae 107: 306-314. https://doi.org/10.1016/j.scienta.2005.08.008
  14. Westwood, M.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Timber Press, Inc. pp.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