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선(神仙)'을 지명소(地名素)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Types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ocks with Sinsun Relevant Place Name Morpheme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박주성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Park, Joo-S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Received : 2011.06.27
  • Accepted : 2011.08.1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본 연구는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중심으로 민간어원적으로 신선사상의 흔적이 장소와 결합하여 고착화된 '신선[仙]' 관련 바위 지명어에 주목하였다. 특히 신선 지명소를 포함한 대표적 지명의 유형을 분류하는 한편, 각 신선 지명별 입지 및 장소 특성을 개관함으로써 바위 지명에 남겨진 신선과 관련된 문화의 흔적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 관련 바위지명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지명은 신선바위(52개소)였으며, 이어서 신선봉(38개소), 신선대(31개소) 등의 지명이 압도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그밖에 강선대(12개소), 선유대(10개소), 사선대(5개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신선대는 '대(臺)' 라는 대상 자체의 경관성도 뛰어나지만 원경의 부감경관(俯瞰景觀) 조망이 탁월함 곳에 입지하고 있다. 3. 신선봉의 위치는 해당 산의 최고봉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봉(峰)의 의미에는 '하늘과 맞닿아 있는' 그리고 '우러러 올려보는' 등의 숭배의 개념이 내포된 공간이다. 4. 신선봉에는 신선바위와 같이 '신선 바둑' 또는 '신선 하강'과 관련된 전설을 잉태하고 있는 지명도 상당수 있었는데 '신선과 바둑'은 신선 지명 바위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다. 그리고 신선대와 함께 신선바위는 내륙은 물론 해양경관이 수려한 바닷가 암상 위에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5. 신선 바위가 위치한 고도 분석 결과, 신선봉-신선대-신선바위 순으로 '해당 위치'뿐만 아니라 '지명이 속한 최고봉의 높이' 역시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선봉이 산의 정상에 위치하거나 단일 산봉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음에 기인된다. 이에 비해 신선대는 대부분 파노라믹한 원경이 부감되는 곳으로, 정상은 아니더라도 신선경(神仙境)을 이루는 듯한 조망이 펼쳐지는 곳에 입지하였다. 그러나 신선바위는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와 높지는 않지만 인가에서 멀리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암경(巖景)이 수려하고 계곡이 잘 발달된 곳에 입지하고 있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보아 고도 보다는 장소성에 기인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6. 신선지명을 보이는 곳의 암경적 특성은 숭배 대상의 시각적 존재감이 인정되고, 숭배 주체의 태도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숭배대상과 숭배주체의 소통방식과 깊이 관련되고 있는데 이는 신선 바위지명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주요 사유인 것으로 보인다. 7. 신선사상이 시대 변천에 따라 점차 가시적이며 현실적 차원으로 우리 곁에서 구현되어 왔음을 가장 여실이 보여주는 대상이 바로 지명으로 표상(表象)되는 '신선[仙] 바위'이다.

This study focused on relevant rock names related to Sinsun(神仙) which had been settled as Taoist traces were combined with places. While interpreting major features of Sundoism relevant rocks, it also discussed types and places of rocks reflected in their names by conside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racters that ancestors viewed through the rocks or on the rock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rock names related to Sinsun, the most frequently discovered one was Sinsunbawi(52) and followed by Sinsunbong(神仙峰: 38), Sinsundae(神仙臺: 31). Other than these, there were Gangsundae(降仙臺: 12), Sunyoodae (仙遊臺: 10) and Sasundae(四仙臺: 5). 2. In the name of Sinsundae, 'Dae(臺)' ascertains that it was located in greatly superb place in the aspects of viewpoint and appreciation where landscape superiority and overlook scenery were fair and outstanding. 3. Sinsunbong was named for a peak of mountain. At the same time, it implied a notion of worship with images of 'merging with sky' or 'looking up.' Most of time, Sinsunbong indicated the tallest rock in the mountain chain. 4. A significant number of Sinsunbong had names where legends of Sinsun's Go game or descent were originated from. It shows that 'Sinsun(仙) and Go game' used to be very important motives for folk etymology of Sinsun related rocks. Along with the Sinsundae, a number of Sinsunbawi were also turned out to exist in land and ocean with excellent marine view. 5. According to analysis of their altitudes and heights of the peaks where the rocks belong to, Sinsunbong, Sinsundae and Sinsunbawi were in order. It might indicate that the rocks were located on top of mountain or that Sinsunbong represented the mountain itself. Compared to this, Sinsundae was located in where distant panoramic views were overlooked. It was not necessarily to be in peak but in where with a great view like Taoist world. On the other hand, Sinsunbawi was located in where has fine scenery and great valley not so far from villages, which proved its name had been influenced by place feature not altitude. 6. Feature of rock with Sinsun related name is to comprise visual stability of worship object with close linkage to attitude of worshiper. Considering its deep connection with communicative method of worship object and worshiper, seemingly it was main factor to lead folk etymology of rocks with Sinsun related names. 7. Rock is an object with the greatest implication of Sinsun imagination and Sinsun rocks show most clearly the fact that Taoism,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inaccessible, had been actualized in a visual and realistic manner with the change of time.

Keywords

References

  1. 김석하(1973). 한국 문학의 낙원사상 연구. 서울: 일신사. pp. 200-207.
  2. 김슬옹(1995). 발가벗은 언어는 눈부시다. 서울: 동방미디어.
  3. 김윤학(1996). 땅이름 연구. 서울: 박이정.
  4. 김정태(2006). '바위'계 지명어의 명명 근거와 전부지명소(1). 지명학. 12: 33-67.
  5. 김정태(2007a). '바위'(岩) 소재 지명어의 명명 근거와 전부지명소(2). 지명학. 13: 85-111.
  6. 김정태(2007b). 후부지명형태소 '바위(岩)'의 교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62: 73-96.
  7. 노승대(2004). 웰빙 여행 심화를 삼킨 바위를 찾아. 서울: 도서출판 무한. pp. 18-25.
  8. 노재현, 박주성, 고여빈(2010). 장소성과 문화경관으로 해석한 태안 백화산의 다층적 종교 관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36-48.
  9. 도수희(1994).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새국어생활. 4(1): 3-27.
  10. 명문당(1991). 한한대자전(1984). 서울: 명문당편집부. p. 1173.
  11. 민경현(1988). 지명에 나타난 바위이름의 유형 고찰 및 정원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 181-215.
  12. 閔肯基(1999). 지명이 생성되는 틀에 대하여. 연민학지. 7: 271-332.
  13. 박주성(2004). 신선사상이 한국전통조경문화에 미친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계복(1989). 한국의 樓亭名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5:145-223.
  15.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루․정․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150-157.
  16. 유홍준(1998). 나의 북한 문화 유산답사기(상․하). 서울: 중앙M&B.
  17. 윤국병(1983). 경주 포석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09-121.
  18. 이은식(2010). 지명이 품은 한국사. 서울 경기도편. 서울: 타오름.
  19. 잔즈추앙 지음, 안동준, 김영수 역(2005). 도교와 여성. 서울: 창해.
  20. 정규훈(1986). 지명 유래 전설의 분류와 의미. 한국어문연구. 2: 123-143.
  21. 정민(2002). 초월의 상상. 서울: 휴머니스트.
  22. 조윤래(1987). 古典籍에 보이는 姑射山과 三神山과의 地名同異攷: 神仙思想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21: 121-136.
  23. 중앙일보(2011). 설악산 공룡능선 국립공원 으뜸 경치. 2011년 1월 26일 20면(사회).
  24. 천소영(2001). 지명연구에 쓰이는 술어에 대하여. 지명학. 5: 97-118.
  25. http://100.naver.com/100.nhn?docid=186101
  26. http://100.naver.com/100.nhn?docid=736657
  27. http://100.naver.com/100.nhn?docid=775125
  28. http://baike.baidu.com/image/7a8a14460ef68d3c6a63e504
  29. http://blog.daum.net/002649/6191328
  30. http://blog.naver.com/cms1530?Redirect=Log&logNo=10033191520
  31. http://cafe.daum.net/gusanldk
  32. http://ulleung.grandculture.net/gc2/common/sub.jsp?pact=view_id&h_id=GC01501386
  33.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95822
  34. http://www.yestv.co.kr/SubMain/News/News_View.asp?bbs_mode=bbs_view&tni_num=320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