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조선왕릉 연지(蓮池)의 특성과 전형

  • Ko, Seung-Kwa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Koo, Bon-Ha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 고승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1.07.21
  • Accepted : 2011.09.0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form, material, structure, method of construction, vegetation)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objects of study are the lotus pond of Namyangju Gwangreung, Hyoreung, Gimpo Jangreung and Sungreung that are well-preserved and the record is remaining. The form is two plane types, square shaped include an island and square shaped. The pond is 7.5~81m in width and 6.5~45m in length and the island is 8~16m in diameter. The depth of water is 0.5~1.2m and the cross section form is narrow bottom and wide top. The material of shore protection is soil in Hyoreung, Gimpo Jangreung and Sungreung. The bottom is mud in all sites. I think that the main material of the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s soil. The lotus pond is built by soil bank in th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are worked through the culvert. There are many kinds of plants in the lotus pond today, however I think that the model of vegetation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s lotus the inside, pine tree, fir tree and flowers the around and pine tree the inside of island in compared the present and the old literature. In comparison with the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and the lotus pond in the Joseon palace, the material is the biggest difference. The main material is soil in Royal Tombs but isodomic in Royal Palace. I think that the difference of material in between two causes the difference of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Royal Tombs is valuable in architecture, landscape and esthe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I think that this study serves as a momentum to find a traditional technique in Royal water space and offer the foundation to plan in the contemporary water space.

본 연구는 조선왕릉 연지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문헌(춘관통고, 광릉지)에 그 기록이 남아 있으며,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남양주 광릉, 효릉, 김포 장릉, 숭릉의 연지를 대상으로 형태, 재료, 구조 및 공법, 식생적 특성 및 전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왕릉 연지형태는 평면적으로는 방지원도형 혹은 방지형이며, 크기는 가로 7.5~81m, 세로 6.5~45m, 섬의 직경은 8~16m, 수심은 0.5~1.2m, 단면은 연지의 밑 부분은 좁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조성되었다. 연지바닥은 진흙이 쓰인 것으로 볼 때 흙이 주재료이며, 연지의 구조 및 공법은 토축으로 들여쌓은 지안이 전형으로 보이며, 물의 입수와 배수는 암거수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지식생은 현재 많은 수종이 재식되어 있으나, 문헌과 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지 내부는 연꽃, 연지 주변은 소나무 전나무 기타 화훼류 그리고 섬 안은 소나무가 재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궁궐 연지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식생적인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장대석이라는 재료의 차이에 따라 그 구조 및 공법에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릉 연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형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조선왕릉 연지를 재현하는데 기본적 준거를 제공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덕(2008). 동구릉 입지조건과 자연환경. 구리문화원. 구리문화통권 15: 22-37.
  2. 김영모, 이선(2004). 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70-87
  3. 김진태(2009). 풍수론적 해석을 통한 조선왕릉 문화에 대한 연구: 서오릉 입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48.
  4. 김용기(1994). 조선시대 별서정원의 수경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2(1): 43-56.
  5. 김철완(2009). 조선왕릉에 관한 풍수연구: 좌향론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5.
  6. 김흥년, 심우경, 최종희(2007). 홍유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92-104
  7. 김흥년(2009). 조선왕릉 연지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9.
  8. 권차경, 강영조(2000) 조선시대 민간정원 지당형태의 통시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3): 61-71.
  9. 대한민국(2007).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10. 문화재청(2001). 동구릉 산림생태 조사 연구보고서.
  11. 문화재청(2003). 광릉 산림생태 조사 연구보고서.
  12. 문화재청(2009). 서삼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3. 문화재청(2009). 조선왕릉 경관포인트 선정 및 문화컨텐츠 마련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보고서.
  14. 엄지혜(2008). 조선시대 왕릉 재실의 배치 및 평면형식의 시대적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0.
  15. 이경은, 안계복(2008). 변동계수를 통한 전통연못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년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발표집. pp.32-39.
  16. 이경재(1991). 왕릉식생경관 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2. 한국조경학회지. 19(3): 41-54.
  17. 이상민(2001). 우리나라 궁궐지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24-130.
  18. 이상필(2006). 한국 전통 원지 조영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51-66.
  19. 이선, 김영모(2004). 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생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 서오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88-101.
  20. 이영(1992). 조선시대 왕릉 능역의 건축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1.
  21. 이재영(2010).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63.
  22. 이창환(1999).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03.
  23. 이창환, 이상필, 정종수, 전혜원, 김규연, 최종희(2009). 조선왕릉의 능제 복원 연구: 태릉․강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59-71.
  24.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86-97.
  25.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융릉.건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39-52.
  26. 정동오(1978). 한국정원의 지당형태 및 구성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1: 1-16.
  27. 정운익(2004). 조선시대 민간 전통연못의 입배수 관리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49-60.
  28. 조정숙(1987). 전통정원에 있어서 지당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운연(2009). 조선왕릉의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13
  30. 춘관통고 해제(1975). 춘관통고 上.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1. http://100.naver.com(네이버백과사전)
  32. http://local.daum.net/map(다음지도)
  33. http://royaltombs.cha.go.kr(문화재청 조선왕릉전시관)
  34. http://sillok.history.go.kr(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