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emotional support from supervisor, colleagues, parents and burnout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영유아보육·교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 이영미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3.15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emotional support from supervisor, colleagues and parents, and teachers' burnout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orke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of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burnout. (2) Emotional support from supervisor, colleagues and parent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burnout. (3) There wer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eachers'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to teachers' burnout. (4) There wer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eachers'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and parents' emotional support to teachers' burnout.

이 연구는 영유아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영유아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 208명 이었으며 자료는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감소하였다. 셋째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시설장의 정서적 지지,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시설장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 경우 그리고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 경우 표면적 정서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2. 김민수, 강원경 (2006). 감정노동 프로세스에서 감정 부조화의 역할에 대한 재고찰, 경영논총, 24(1), 1-17.
  3. 김원형, 신강현, 허창구, 이종현 (2007).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 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05-921.
  4. 김용미 (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5. 김은주 (2010). 어린이집 만5세반 보육교사의 일과의 의미 분석, 아동교육, 19(1), 37-51.
  6. 민하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7. 박광배 (2003).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서울: 학지사
  8.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9. 박지원 (1989).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송연숙, 유수경 (2008). 유아교사용 역할갈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8(4), 189-213.
  11. 성영혜 (1993). 부모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강현, 한영석, 김완석, 김원형 (2008).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 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 475-491.
  13. 심숙영 (1999).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339-349
  14.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47-164.
  15. 안효진, 안선희, 문혁준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16.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7. 이동명, 김강식, 김수련 (2007).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인사관리연구, 31(3), 133-155.
  18. 이랑, 김완석, 신강현 (2006). 직무탈진과 직무요구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 전략의 이해: 콜센터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 573-597.
  19.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 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21.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22. 최기영, 우수경 (2001). 유치원교사의 정서표현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4), 455-479.
  23.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 (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567-589.
  24. 황혜신 (2008).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89-600.
  25. Abraham, R. (1999).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4, 229-246.
  26. Adelman, P. K. (1995). Emotional labor as a potential source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risk factors for job stress. edited by S. L. Sauter & L. R. Murphy. APA.
  27. Ashforth, B. E., & Humpher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88-115.
  28. Brotheridge, C. M. & Grande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29.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3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31.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 0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32. Erickson, R. J. & Ritter, C. (2001). Emotional labor, burnout, and inauthenticity; Does gender matte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4(2), 146-163. https://doi.org/10.2307/3090130
  33.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34. Kruml, S.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35.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36. Maslach, C. & Jackson, S.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I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37.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38. Scheid, T. L. (1999).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erspectives on social problems, 11, 169-194.
  39. Spector, P. E. (2004).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4th Ed.). John Wiley.
  40. Van der Doef, M., & Maes, S. (1999).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20 years of empirical research. Work & Stress, 13, 87-114. https://doi.org/10.1080/026783799296084
  41. Zapf, D. & Halz, M. (2006).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work in organizations. European Journal of Work Organism Psychology, 15(1), 1-28. https://doi.org/10.1080/13594320500412199